신라 왕관 기증에 대한 미국의 논평, 한국에서 반발 일어나다 / US Commentary on Silla Crown Gift to Trump Sparks Backlash in Korea


A wave of satire on American late-night television regarding President Lee Jae Myung’s gift of a replica Silla-era gold crown to U.S. President Donald Trump has provoked strong reactions in South Korea, highlighting sensitivities amidst recent strains in the alliance over tariffs and labor issues.

The ornate replica crown, presented during the Korea-U.S. summit in Gy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quickly attracted attention from American comedy and talk show hosts.

On "The Daily Show," one host remarked on the irony of presenting a crown amid American protests against the idea of monarchy. Similarly, on ABC’s "Jimmy Kimmel Live," another host criticized the choice of gift, suggesting that it was embarrassing for Trump to receive such a symbol when it contrasted with a public sentiment against a king-like figure.

These jokes, which were widely circulated on social media, sparked outrage and debate in Korea over the weekend. While many Korean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government’s handling of the diplomatic event, others felt discomfort, arguing that the American satire failed to grasp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gift. Online platforms saw an influx of comments addressing the issue.

Some users articulated their grievances, stating that the satire was insensitive given the ongoing economic ten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cluding tariffs and labor disputes. They expressed disappointment that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rown was overlooked, clarifying that it was not intended as a gesture towards monarchy but rather a significant symbol pertaining to the summit's location.

The golden crown replica was commissioned from a master artisan a month prior to the Gyeongju summit, contradicting claims that it was a response to recent U.S. protests against the notion of kingship.

Reactions reflected broader frustrations linked to recent challenges in Korea-U.S. relations during Trump’s presidency, including tariffs and a strict approach to Korean labor presence in America. Various commentators pointed out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governance, mentioning that Korea has a history of overthrowing kings, contrasting it with what they perceive as American complacency in electing their leaders.

Tak Hyun-min, a former presidential protocol secretary, clarified that the gold crown symbolizes a historic cultural exchange and shared prosperity between the nations, rather than promoting royal power. He emphasized that the Silla crown represents central values of openness and international exchange, illuminating the strategic alliances and cultural creativity that have defined the kingdom’s longevity.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에게 신라 시대 금관 복제품을 선물한 이재명 대통령의 행위에 대한 미국 심야 토크쇼의 풍자가 한국에서 강한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무역과 노동 문제로 인해 최근 악화된 동맹 관계에 대한 민감한 감정을 드러냈습니다.

경주시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전달된 화려한 금관 복제품은 미국의 코미디 및 토크쇼 진행자들로부터 즉각적인 관심을 받았습니다.

"데일리 쇼"의 진행자 데시 라이딕은 "우리 대통령을 왕의 이미지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노력을 정말 하고 있는데, 그러더니 대통령 트럼프를 위해 '이 멋진 관을 한번 착용해 보세요. 집에 가져가세요.' 하는 게 도움이 되지 않네요!"라고 말했습니다.

ABC의 "지미 킴멜 라이브"에서는 진행자 킴멜이 "우리가 수백만 명이 '우리는 왕을 원하지 않는다!'고 시위하는 걸 봤을 테고, '좋은 선물, 보석이 박힌 왕관!'이라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던 것 같습니다. 그가 이렇게 조작당하기 쉽다는 게 정말 부끄럽습니다. 아마 그는 그냥 거기서 남아서 대한민국의 왕으로 지낼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이 농담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짧은 영상으로 잘려 한국에서 주말 동안 빠르게 퍼지며 분노와 토론을 촉발했습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정부가 대규모의 권위 있는 행사와 외교 교류를 처리한 것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감을 표명했지만, 많은 이들은 미국의 풍자가 선물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놓쳤다며 불편과 분노를 느꼈고, 원본 영상에 댓글을 달고 한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논의를 격렬하게 벌였습니다.

한 온라인 사용자는 "풍자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한국인에게는 전혀 웃기지 않다"고 썼습니다. "트럼프가 한국인들을 공장에서 쫓아내고 우리에게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후 생존하려고 애쓰고 있는데, 미국인들은 그에게 돈으로 뇌물을 주는 농담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 때문에 매일마다 위태로운 상황에 처해 있다면 웃을 수 있을까?"라고 질문했습니다.

많은 한국인은 미국 연예인들이 선물의 의미를 오해했다고 비판하며, 금관이 고의로 왕권을 암시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오히려 이는 신라 유적이 상징적인 경주에서 정상회담이 열렸기 때문에 선택된 상징이라는 것입니다.

금관 복제품은 경주 정상회담 한 달 전에 명장에게 의뢰된 것으로, 최근의 "왕이 아닌" 시위에 대한 반응으로 해석되는 것을 반박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 하의 한-미 관계의 최근 어려움으로 영향을 받았습니다. 트럼프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와 한국의 노동력을 미국에서 강하게 막는 태도는 상당한 반감을 일으켰습니다.

한 온라인 사용자는 유튜브 영상에 "한국인은 두 번 왕을 무너뜨렸다"고 썼고, 이는 2017년 박근혜 impeachment와 올해 윤석열의 경우를 언급하며 "미국인은 두 번 왕을 선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다른 사용자는 "우리는 이미 탄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보여주었습니다. 당신의 투표로 생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한국의 일이 아닙니다."라고 적었습니다.

이전 대통령 의전 비서관인 탁현민은 금관이 역사적 문화 교류의 상징이자 동맹의 공동 번영 메시지라고 설명하며 왕권의 지지를 목표로 한 것이 아님을 강조했습니다.

탁은 "신라의 금관은 개방성과 국제 교류의 중심 가치를 나타냅니다."라고 지역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말하며, 왕국의 천년 지속성이 전략적 동맹과 문화적 창의성에 기반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