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당국, 통일부 승인에도 불구하고 북한주류 판매 차단 / Safety Officials Halt Sale of North Korean Liquor Despite Ministry of Unification Approval


Efforts to sell North Korean-made liquor in South Korea have stalled after regulators rejected an import registration due to missing safety documents.

An unidentified importer brought in approximately 3,500 bottles of Goryeo doenjang (soybean paste) liquor and deuljjuk (bog bilberry) liquor through Incheon Port in September, following prior approval from the Ministry of Unification.

However,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ater denied the registration for the products, citing the importer’s failure to provide documentation verifying the overseas manufacturing site, as stated by the unification ministry on Sunday.

The decision was based on the Special Act on Imported Food Safety Control, enacted in 2016, which mandates that importers register detailed information about foreign production facilities before filing import notifications. This system ensures that imported goods originate from safety-regulated plants and allows South Korean authorities to conduct onsite inspections if potential risks are identified.

The ministry confirmed that the deal with North Korea’s Sangmyong Trading did not violate international sanctions, marking the first government-approved import of North Korean goods since 2020.

On October 14, the Food and Drug Safety Ministry informed the importer that registration could not proceed due to the absence of proof of the factory’s business license. Without this registration, the products cannot be cleared through customs or distributed domestically.

The importer reported that North Korean officials indicated their factories operate under state control and do not issue business licenses, requesting Seoul to apply an exception in such cases.

Regulators responded that there is no legal basis to exempt North Korean foods from standard safety regulations. With inter-Korean relations currently suspended, the Unification Ministry is unable to verify the importer’s claims.

Consequentl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task force comprising representatives from the unification, food safety, customs, and intelligence agencies to determine how to address the liquor shipment and future North Korean food imports. This group is expected to convene this week.




북한산 주류의 한국 내 판매 노력이 안전 문서 누락으로 인해 중단되었습니다.

불상사의 수입업체는 9월 인천항을 통해 고려 된장술과 들쭉술 약 3,500병을 들여왔으며, 통일부의 사전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입업체가 해외 제조업체를 증명하는 서류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제품 등록을 거부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2016년에 제정된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이는 수입업체가 수입 통지를 제출하기 전에 외국 생산 시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시스템은 수입품이 안전 관리가 이루어진 공장에서 생산되도록 하며, 잠재적인 위험이 발견될 경우 한국 당국이 현장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식약처는 북한의 상명무역과의 거래가 국제 제재를 위반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이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정부가 승인한 북한산 제품의 수입입니다.

하지만 10월 14일, 식약처는 수입업체에 대해 공장 사업자 등록증이 누락되어 등록이 진행될 수 없다고 통보했습니다. 이 등록 없이는 제품이 세관을 통과하거나 국내에서 유통될 수 없습니다.

수입업체는 북한 당국이 자국의 공장은 국가 통제 하에 운영되며 사업자 등록증을 발급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으며, 서울에 이러한 경우에 대한 예외를 적용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규제 당국은 북한 식품이 표준 안전 규칙에서 면제될 법적 근거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관계가 중단된 상황에서 통일부는 수입업체의 주장을 검증할 수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정부는 통일부, 식품 안전, 세관 및 정보 기관이 참여하는 태스크 포스를 구성하여 주류 선적 및 향후 북한산 식품 수입 처리 방안을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해당 그룹은 이번 주에 회의를 열 예정입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