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im Ji-hoon, an office worker in his 40s, transformed a 300 million won ($220,000) investment into 1.5 billion won over five years. Now financially independent, he earns a stable post-retirement income of about 4 million won per month, sufficient for a comfortable lifestyle and travel after leaving his job.
Kim shared his investment approach in the book "Retire with Just 3 U.S. ETFs," which has sold over 30,000 copies since its release in March, becoming one of the year’s most discussed financial titles.
Exchange traded funds (ETFs) are investment funds that own financial assets like stocks, bonds, and commodities that are traded on exchanges.
Rather than pursuing quick profits, Kim advocates for what he calls “lazy investing” — maintaining long-term, consistent investments that yield steady, above-average returns. He stated, “It’s better to keep finishing fourth or fifth consistently than to win first place once and stop.”
Lee Eun-mi, an editor at Leaders Book, which published the title, noted that the concept resonated with many readers. “For busy workers, time-intensive active investing can be stressful and doesn’t guarantee better results,” she said. “Kim’s method shows that a low-effort, steady approach can yield strong, sustainable gains.”
In terms of retirement planning, Kim advises starting with a clear target for retirement savings, utilizing the “4 percent rule.” This rule suggests that retirees can withdraw about 4 percent of their total assets each year without depleting their funds for approximately 30 years.
For instance, someone expecting to spend 3 million won a month after retirement would need about 900 million won in total savings. Kim emphasizes the necessity of offsetting inflation, noting that with an average price increase of 3 to 4 percent annually, investors need returns of at least 6 percent to maintain their purchasing power.
Kim’s investment strategy centers on three complementary U.S. ETFs designed to balance stability, growth, and income, helping individuals achieve financial freedom.
The S&P 500 ETF tracks 500 leading companies in the U.S. market, providing long-term stability. The Nasdaq 100 ETF focuses on major tech firms such as Apple, Microsoft, and Google, which drive innovation and long-term growth.
The Dow Jones Dividend 100 ETF invests in companies with a history of steady dividend payouts, including Coca-Cola and Johnson & Johnson, offering liquidity and a source of passive income.
By combining these three ETFs, Kim believes investors can create a well-rounded portfolio capable of withstanding market volatility while still growing over time.
Kim emphasizes that his book is not about stock-picking or market timing, but about cultivating a mindset of patience and confidence in the long-term strength of the U.S. market. “You don’t need to analyze every chart or predict every movement,” he stated. “If you invest passively and consistently in the world’s leading market, you can achieve meaningful returns.”
He recommends well-established ETFs with low fees over smaller, trend-driven products, asserting that “when in doubt, it’s safer to trust large, proven funds that have stood the test of time.”
After publishing his book, Kim left his job to become a writer, lecturer, and investment coach. He expressed initial concerns that disclosing his financial success might be perceived as bragging. “But I wanted to show that having both salary and investment income makes a real difference — and that it’s achievable through a simple, disciplined approach,” he said.
Many readers have expressed envy of his success, to which he responds, “Don’t envy me — start now. My method doesn’t require special insight or luck. If you trust the U.S. market and invest steadily for five or six years, anyone can achieve results.”
Kim is currently writing a follow-up book, set to be released next year, to share updates to his strategy. “The best kind of investment,” he said, “is one where you trust the market, stay patient, and let time do the work.”
40대 직장인 김지훈은 3억 원의 투자를 5년 만에 15억 원으로 성장시켰다. 현재 그는 재정적으로 독립되어 매달 약 400만 원의 안정적인 퇴직 후 수입을 얻고 있으며, 이는 직장을 떠난 후 편안하게 생활하고 여행할 수 있는 충분한 금액이라고 밝혔다.
김지훈은 "단 3개의 미국 ETF로 은퇴하기"라는 책에서 자신의 투자 접근법을 공유했으며, 이 책은 3월 출간 이후 3만 부 이상 판매되어 올해 가장 주목받는 재정 관련 도서 중 하나가 되었다.
상장지수펀드(ETF)는 주식, 채권 및 원자재와 같은 금융 자산을 보유하고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투자 펀드이다.
김지훈은 빠른 수익을 추구하기보다 "게으른 투자"를 강조하며, 장기적으로 일관된 투자를 유지해 안정적이고 평균 이상의 수익을 창출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한 번 1등하고 끝나는 것보다 꾸준히 4등, 5등을 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책을 출간한 리더스 북의 편집자 이은미는 이 개념이 많은 독자들과 공감되었다고 밝혔다. "바쁜 직장인에게 시간 소모적인 적극적 투자는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며 더 좋은 결과를 보장하지 않는다"며 "김 씨의 방법은 적은 노력으로도 지속 가능한 강한 수익을 올릴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김지훈은 퇴직 저축의 명확한 목표를 설정할 것을 권장하며, 이른바 "4% 규칙"을 설명했다. 이 규칙은 퇴직자는 총 자산의 약 4%를 매년 인출할 수 있으며 대략 30년 동안 돈이 바닥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퇴직 후 매달 300만 원을 사용하고 싶다면 약 9억 원의 총 저축이 필요하다. 김 씨는 또한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연평균 3~4%의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경우 투자자는 구매력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 6% 이상의 수익을 필요로 한다고 언급했다.
김 씨의 투자 전략은 안정성, 성장 및 수익 균형을 맞춘 세 가지 보완적인 미국 ETF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들이 재정적 자유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S&P 500 ETF는 500개의 주요 회사를 추적하여 미국 시장을 대표하며 장기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Nasdaq 100 ETF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주요 기술 기업에 투자하여 성장성을 추구하고 혁신과 장기적인 확장을 촉진한다.
다우존스 배당 100 ETF는 코카콜라, 존슨앤드존슨과 같은 배당금 지급의 역사가 있는 기업에 초점을 맞추어 유동성과 수동적 소득원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 가지 ETF를 조합함으로써 김 씨는 투자자들이 시장 변동성에 견딜 수 있는 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김 씨는 자신의 책이 주식 선택이나 시장 타이밍에 관한 것이 아니라 인내심을 갖고 미국 시장의 장기적인 강점을 믿는 사고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모든 차트를 분석하거나 모든 움직임을 예측할 필요는 없다"며 "세계의 선도적인 시장에 수동적이고 일관되게 투자하면 의미 있는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작은 트렌드에 민감한 상품보다 저렴한 수수료를 가진 잘 확립된 ETF를 권장했다. "의심스러울 때는 시간의 시험을 견뎌온 크고 검증된 펀드를 신뢰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덧붙였다.
책 출간 후 김지훈은 작가, 강사, 투자 코치로 활동하기 위해 직장을 떠났다. 그는 처음에 자신의 재정을 공개하는 것이 자랑으로 여겨질까 걱정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월급과 투자 수입을 모두 갖는 것이 실제로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는 간단하고 규칙적인 접근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많은 독자들이 그의 성공을 부러워한다고 전하며, 그의 대답은 항상 동일하다. "저를 부러워하지 말고 지금 시작하세요. 저의 방법은 특별한 통찰력이나 운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미국 시장을 믿고 5~6년 동안 꾸준히 투자하면 누구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김 씨는 현재 자신의 전략 업데이트를 공유하기 위한 후속 책을 집필 중이며, 내년에 출간될 예정이다. 그는 "최고의 투자란 시장을 신뢰하고 인내하며 시간이 일을 하게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