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sident Lee Jae Myung is set to deliver a policy address Tuesday regarding next year’s 728 trillion won ($510 billion) budget proposal, emphasizing the need for bipartisan cooperation among lawmakers.
The presidential office announced that Lee will outline his administration’s key priorities for the upcoming budget during his address.
As the National Assembly prepares to begin budget deliberations on Wednesday, the president plans to clarify the rationale behind the proposed spending plan and encourage constructive engagement among lawmakers from all parties.
The address, delivered in the context of political division and rising living costs, is considered a significant test of the president’s leadership, with a focus on curbing inflation and supporting socially vulnerable groups.
Next year’s budget, marking the Lee administration’s first full-year budget, represents an 8.1 percent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and exceeds the 700 trillion won threshold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Key highlights include a 72 trillion won investment in the government’s “super-innovation economy” initiatives, with 10.1 trillion won allocated specifically for the AI transformation project, as well as 175 trillion won dedicated to promoting inclusive growth.
Lee is expec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ubstantial invest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coring its role in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riving future growth. The address may also reference the administration’s recent diplomatic achievements.
On the day of the address, the president has no public engagements, having previously delivered a policy speech in June focused on a supplementary budget aimed at boosting household consumption and economic recovery.
The National Assembly's deliberations on next year’s budget will commence this week, beginning with a public hearing on Wednesday by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followed by policy inquiries on Thursday and Friday regarding budget operation plans. Next week, the committee will review economic ministries on Monday and Tuesday, and non-economic ministries on Wednesday and Thursday.
Several standing committees, including National Defense, Legislation and Judiciary, and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 Oceans, and Fisheries, have also scheduled sessions to examine the government’s budget proposal later this week. The budget committee will subsequently ente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phase based on preliminary reviews.
Starting on November 17, a budget adjustment subcommittee will convene to discuss potential increases or cuts to proposed fiscal expenditures. Following this review, the finalized proposal will be presented for a vote at a plenary session of the budget and account committee before being sent to the full National Assembly for final approval.
The ruling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has characterized the proposed budget as a “stepping stone for economic recovery and future growth,” expressing full support for Lee's policy direction, which emphasizes innovation sector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DPK is also expected to advocate for funding for Lee’s flagship local cash handout program, intended to stimulate regional spending. Under the budget plan, the government will support 24 trillion won in local cash handouts for the program.
Conversely, the main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PPP) has criticized the administration’s expansionary fiscal approach as a “debt-fueled budget,” pledging to reduce spending on cash handouts and what it terms populism.
이재명 대통령은 다음 주 화요일 728조 원(5100억 달러) 예산안에 대한 정책 연설을 할 예정이며, 법안 통과를 위해 초당적 협력을 촉구할 계획이다.
대통령실은 월요일에 이 연설에서 내년도 예산에 대한 정부의 주요 우선사항을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가 수요일 예산 심의를 시작함에 따라 대통령은 내년도 지출 계획의 이유를 설명하고 초당적 법안 검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
정치적 분열과 물가 상승 속에서 진행되는 이 연설은 대통령의 리더십을 시험하는 중요한 계기로 여겨지며, 인플레이션 억제와 사회적 약자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정부의 첫 전액 예산은 지난해 대비 8.1% 증가하며, 사상 처음으로 700조 원을 초과했다.
내년도 예산의 주요 내용은 정부의 '슈퍼 혁신 경제' 목표를 위한 72조 원의 대규모 투자 포함된다. 이중 10.1조 원은 인공지능(AI) 변환 프로젝트에 배정된다. 또한 175조 원은 포용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earmarked 되었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에 대한 실질적인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역할을 하고 미래 성장을 이끄는 힘이라고 전할 예정이다. 연설은 또한 최근의 외교적 성과를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은 연설 준비에 집중하기 위해 이날 공개 일정이 없다. 그는 이전에 가계 소비 촉진 및 경제 회복을 목표로 한 추가 예산에 대한 정책 연설을 6월에 발표한 바 있다.
국회는 이번 주 내년도 예산 심의를 시작할 예정이다. 수요일에 예산안에 대한 특별위원회 공청회를 가진 후, 법안 운영 계획에 대해 목요일과 금요일에 종합 정책 질의가 진행된다. 다음 주에는 월요일과 화요일에 경제부처를, 수요일과 목요일에는 비경제 부처를 검토할 예정이다.
국방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등 여러 상임위원회도 정부의 예산안을 검토하기 위해 이번 주 후반에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들 위원회의 초기 검토를 바탕으로 예산위원회는 종합 검토 단계로 나아갈 것이다.
11월 17일부터 예산 조정 소위원회가 소집되어, 제안된 재정 지출의 증감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소위원회의 검토 후, 최종 제안은 예산 및 회계위원회의 전체 회의에서 투표에 상정되며, 이후 국회의원에게 최종 승인을 받게 된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제안된 예산을 “경제 회복과 미래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설명하며, 인공지능(AI) 및 연구 개발과 같은 혁신적인 분야에 중점을 둔 이 대통령의 정책 방향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이 대통령의 대표적인 현금 지급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을 방어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 예산 계획 하에 정부는 이 프로그램을 위해 24조 원의 현금 지급을 지원할 예정이다.
반면,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정부의 확장적 재정 접근을 “부채 기반 예산”이라고 비판하며, 현금 지급 및 포퓰리즘으로 간주하는 지출을 줄이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