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에서 기업가정신 강조하는 UN 및 대학들 / UN and Universities Emphasize Entrepreneurship in Jinju


JINJU, South Gyeongsang Province — The United Nations and universities worldwid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n addressing rapidly changing technological trends during the opening day of the 2025 Jinju International Forum on Entrepreneurship. The forum recalled the contributions of past corporate leaders who prioritized human values and sustainable goals in higher education.

The first day of the forum focused on the role of entrepreneurs in tackling global challenges such as climate change, advanced technologies, the rise of populism, and trade obstacles including protectionism and unstable supply chains.

Korean entrepreneurship was highlighted, noting the nation's transformation over the past 70 years from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to becoming a global economic player. Jinju, known as the birthplace of major Korean conglomerates, held particular significance for international attendees.

U.N. representatives described entrepreneurship as adaptive leadership essential for navigating different eras. They stressed the need for sustainable goals to mitigate the impa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industries and societies.

Csaba Korosi, former president of the U.N. General Assembly, underscored the necessity of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relation to global industries and entrepreneurship. He stated that achieving sustainability transformation would require investments of $92-95 trillion over 15 year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AI to support this transformation.

Jehangir Khan, secretary-general of the Council of Presidents of the U.N. General Assembly, remarked on the scarcity of effective entrepreneurship leadership in various sectors today. He asserted that strong leadership is crucial for the success of any nation or organization.

Khan urged entrepreneurs to engage proactively with the AI revolution to ensure that technology serves humanity rather than disrupts it. He warned that poor leadership and corruption could hinder entrepreneurial effort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U.N. SDGs.

In the second session, educators from the United States, Malaysia, and Korea discussed how their institutions are preparing students to become future entrepreneurs amidst global challenges. Their programs aim to align educational curricula with real-world industry needs to foster sustainable and inclusive entrepreneurial ecosystems.

Stuart Rayfield, president of Columbus State University in Georgia, shared her institution's approach to addressing local issues through education. She noted successful partnerships with local industries to develop relevant curricula, including a recent data analytics program that collaborates with the Columbus Fire Department.

Rayfiel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quipping students with essential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tating that adaptability is crucial for aspiring entrepreneurs.




<�첫 번째 단락>진주, 경상남도 — 유엔과 전 세계 대학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트렌드 속에서 기업가 정신의 역할을 강조하며, 인류 중심의 가치와 지속 가능한 목표 및 고등 교육의 중요성을 회상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두 번째 단락>2025 진주 국제 기업가 정신 포럼의 첫 번째 날에는 기업가가 기후 변화, 첨단 기술, 포퓰리즘의 대두 및 보호주의 확산 등 글로벌 무역의 다양한 장애물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역할에 대한 주제가 논의되었습니다.
<�세 번째 단락>이러한 도전 속에서 한국의 기업가 정신은 참가자들에게 주목을 받았으며, 지난 70년 동안 한국의 비즈니스 리더들이 1950-53 한국 전쟁의 폐허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제로 성장한 과정을 되새겼습니다. 진주는 LG, 삼성, GS, 효성이와 같은 글로벌 한국 대기업의 창립지로 역사적 중요성을 가지며 외국 참가자들에게 의미가 있었습니다.
<�네 번째 단락>유엔 대표들은 기업가 정신을 시대와 요구에 적응하는 지혜로운 리더십으로 해석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이 글로벌 산업과 사회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AI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목표와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다섯 번째 단락>유엔 총회 제77대 의장을 역임한 체바 코로시(Csaba Korosi)는 글로벌 산업 및 기업가 정신과 관련된 유엔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여섯 번째 단락>그는 “SDGs를 도출할 때, 우리는 이 지속 가능성 변환이 인류 역사상 가장 큰 변환이 될 것이라고 계산했습니다. 15년 안에 92-95조 달러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 변환은 실제 경제에서 이루어져야만 가능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일곱 번째 단락>그는 “현재 통합된 영향을 통해 지속 가능성 변환을 측정할 수 있는 합의된 방법론은 없습니다. AI를 개발하는 모든 분들에게 부탁드리는데, AI 에이전트가 지속 가능성 변환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 주세요.”라고 덧붙였습니다.
<�여덟 번째 단락>유엔 총회 의장협의회 사무총장 제항기르 칸(Jehangir Khan)은 오늘날 기업가 정신 리더십의 실천이 정치, 경제 및 사회 분야에서 부족하다고 밝혔습니다.
<�아홉 번째 단락>그는 "좋은 기업가는 모든 사회, 모든 기관, 모든 조직의 가장 귀중한 자원입니다. 저는 종종 한 나라나 기업이 많은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도 리더십이 부족하면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열 번째 단락>진주 시장 조규일은 미국 소기업청의 윈슬로 사전트와 함께 진주 시민의 명예 시민권을 수여한 후 기념사진을 찍었습니다.
<�열한 번째 단락>그는 기업가들이 AI 혁명에 맞서 새로운 기술이 인류에 봉사하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열두 번째 단락>교육자들은 미국, 말레이시아, 한국의 세션에서 자신들의 대학이 이러한 글로벌 도전 속에서 학생들이 미래의 기업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있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열셋 번째 단락>조지아 주 콜럼버스 주립대학교의 스튜어트 레이필드 총장은 학교가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학생들을 양성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열넷 번째 단락>그녀는 "우리는 지역 산업과 협력하여 교육이 요구하는 바와 일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1990년대 말 콜럼버스에서 금융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회사가 생기는데, 이 회사가 프로그래머가 부족한 이유로 도시를 떠나려 할 때 협력하여 커리큘럼을 개발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열다섯 번째 단락>그녀는 "올해 1학년 학생들을 위한 데이터 분석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학생들은 콜럼버스 소방서와 협력하여 소방서의 데이터에 접근하여 학기 말에는 의사소통, 문제 해결, 주도적인 자세, 훌륭한 질문을 던지는 기술을 개발하게 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