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 President Donald Trump stated on Wednesday that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re "serious partners" in efforts to revitalize the U.S. shipbuilding sector, identifying Hanwha Philly Shipyard as a significant player that could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yards in the world."
During his keynote address at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CEO Summit in Gy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Trump indicated that a long-delayed trade agreement with Seoul might soon be finalized, while commending Korea for its economic transformation and democratic achievements.
Trump remarked that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has lagged due to years of stagnation, recalling that the U.S. was once the leading shipbuilder globally during World War II. He expressed optimism about revitalizing the industry in collaboration with South Korea.
He attributed the decline of the shipbuilding sector to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mismanagement and expressed confidence that Philly Shipyard, now owned by Hanwha Ocean, would thrive. Trump emphasized the strong partnership between the U.S. and Korea, describing it as a "special bond."
In his address, Trump also lauded Korea's evolution into a glob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leader, calling it a model for other nations. He noted that the world observes Korea's achievements, although many do not fully comprehend them.
Regarding trade, Trump announced that the long-stalled agreement with Korea would be finalized "very soon," referring to the Korean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s "a tough man." He highlighted recent agreements signed with other countries during his trip, expressing optimism about the impending deal with Korea.
While a July agreement reduced U.S. tariffs on Korean goods from 25 percent to 15 percent, the implementation of this reduction remains pending. Ongoing negotiations are reportedly focused on the nature of investments, with the U.S. seeking direct cash investments and Korea advocating for loans and loan guarantees.
Trump also mentioned upcoming discussions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expressing confidence in reaching a beneficial agreement for both nations.
Following his speech, Trump met with President Lee Jae Myung, marking reciprocal visits between the two leaders within 147 days of Lee's administration.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수요일 한국과 미국이 자국의 조선 산업을 되살리기 위한 "진지한 파트너"라고 언급하며 한화 필리 조선소를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조선소 중 하나"가 될 주요 업체로 강조했습니다.
트럼프는 또한 서울과의 오랜 지연된 무역 협정이 곧 마무리될 수 있음을 알리며 한국을 경제 변혁과 민주적 성공의 모델로 칭찬했습니다.
경북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APEC) CEO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하면서, 트럼프는 미국 조선 산업이 수십 년 간의 정체로 인해 뒤처졌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세계 1위였다. 하루에 한 척의 배를 만들었다"며 "오늘날 우리는 사실상 배를 만들지 않고 있다. 우리는 다시 시작할 것이고 매우 번창하는 조선 산업을 가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는 조 바이든 전 행정부의 잘못된 관리에 대해 비난하며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 조선소가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조선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우리는 진지한 파트너입니다. 우리는 결합되어 있으며 매우 특별한 관계, 특별한 유대가 있습니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는 한국의 글로벌 경제 및 기술 강국으로의 변모를 칭찬하며 이를 다른 국가들의 모델로 비유했습니다. 그는 한국을 다른 나라들이 복제하기 어려운 눈에 띄는 발전을 이룬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로 묘사했습니다.
그는 "전 세계가 당신들이 한 일을 연구하고 있다"며 "하지만 대부분은 여전히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어쩌면 그게 당신에게는 좋은 일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무역 문제로 전환한 트럼프는 한국과의 오랜 지연된 협상이 "매우 곧" 마무리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정관을 "강한 사람"으로 평가했습니다.
트럼프는 "이번 여행에서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일본과 획기적인 협정을 체결했다"며 "대한민국과의 협정도 매우 곧 마무리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7월 협정에 따라 한국산 품목에 대한 미국의 세금이 25%에서 15%로 인하되기로 했으나, 이 세금 인하 조치는 아직 시행되지 않았습니다.
협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은 일본과 체결한 것처럼 더 직접적인 현금 투자를 요구하고 있으며, 한국은 대부분의 투자가 대출 및 대출 보증 형식이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APEC 행사 중 정식 계약이 이루어질 것에 대한 정치적 관찰자들의 기대는 낮았습니다.
트럼프는 목요일 예정된 중국 시진핑 주석과의 양자 회담에 대한 향후 협상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협정을 체결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양쪽 모두에게 좋은 협정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정말로 좋은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연설 후 트럼프와 이재명 대통령은 정상 회담을 가졌습니다. 트럼프의 이번 방문은 이 정부 출범 147일 만에 두 정상 간의 상호 방문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