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라마, 현대의 냉혹한 현실을 반영하며 쌉싸름한 탈출구 제공 / K-Dramas Reflect Contemporary Struggles While Providing a Bittersweet Escape


Amid a slow job market and a growing sense of social isolation, a surge of Korean dramas that provide emotional comfort and address everyday struggles are resonating with viewers.

In Korea, the employment rate for individuals aged 15 to 29 dropped to 45.1 percent last month, reflecting a 0.7 percentage point de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and marking a 17-month decline, the longest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Some young people have resorted to participating in voice phishing schemes in Cambodia, lured by promises of high earnings, only to find themselves imprisoned by criminal organizations.

This sense of desperation extends to older workers, many of whom face forced early retirement in their 50s and are leaving major corporations in significant numbers. These stark realities are being dramatized and communicated to audiences through various television series.

JTBC’s “The Dream Life of Mr. Kim,” now available on streaming platforms, portrays the life of a typical middle-aged corporate manager, Kim Nak-su. After 25 years as a sales representative, he has achieved several promotions and considers himself a symbol of middle-class success in Korea, owning an apartment in Seoul and having sent his son to university.

However, Kim's seemingly stable life is precarious. He faces competition from younger managers at work and struggles to maintain authority at home. Torn between the fear of retirement and the ambition for an executive position, he attempts to act like an executive, even sneaking into the managing director's office.

In one episode, during a team meeting intended for open dialogue, he dominates the conversation, failing to listen to his junior staff. This one-sided communication continues to create tension with his son, who aspires to start his own business.

The series effectively captures the vulnerabilities and bittersweet humor of a man grappling with the disparity between pride and dislocation.

Another drama, "Typhoon Family," set dur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follows a young company president and his employees as they navigate challenges at a mid-sized firm. Critics highlight that both "The Dream Life of Mr. Kim" and "Typhoon Family" resonate with contemporary audiences by reflecting ongoing economic insecurity and inequality in Korea.

According to a culture critic, these shows channel a collective sense of helplessness and present a fantasy that compensates for the harsh realities faced by viewers today. "The Dream Life of Mr. Kim" examines the life of a man who matured dur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while "Typhoon Family" depicts young individuals striving to survive during the same period.

Meanwhile, MBC’s "To the Moon," which is set to conclude soon, focuses on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turn to cryptocurrency investment to supplement their incomes. The main character, living in a substandard apartment, hopes to resolve her student loans through potential gains in cryptocurrency, a narrative that resonates strongly with many viewers.

SBS’s romantic comedy "Would You Marry Me?" addresses the pervasive issue of housing fraud in modern Korea. The protagonist, after losing her fiancé and her deposit in a scam, persuades a man with her ex’s name to pose as her husband for a housing lottery, highlighting the absurd intertwining of romance and real estate.

Experts agree that these dramas reveal deeper societal issues, portraying a generation that feels trapped and resorting to risky financial choices as legitimate pathways to success become increasingly elusive. The themes of nostalgia and ambition in "Typhoon Family" serve to fill the void left by changing economic realities.

Academics note that these dramas reflect a pervasive sense of hopelessness across genres, with characters seeking impossible escapes through sudden fortunes or lottery wins, as traditional pathways to success become increasingly rare. The portrayal of early or forced retirement, regardless of talent or success, underscores a bitter reality for many viewers.

Overall, these dramas provide a lens through which audiences can explor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personal ambition and societal constraints, resonating deeply in a time of economic uncertainty.




느린 고용 시장과 깊어지는 사회적 고립감 속에서, 일상 생활의 공백을 채우고 정서적 위안을 제공하는 한국 드라마들이 시청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한국에서 15세에서 29세 사이의 고용률은 지난달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하락했으며 17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긴 감소세이다. 일부 젊은이들은 높은 수익을 약속하는 목소리 피싱 사기에 연루되어 캄보디아에서 범죄 조직에 의해 감금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절망감은 50대에서 강제 조기 퇴직을 겪는 노년층 근로자들과 공유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대기업을 떠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드라마를 통해 극복되고 전달되고 있다.

JTBC의 "김석진의 꿈 같은 인생"은 넷플릭스에서 시청할 수 있으며, 전형적인 중년 기업 관리자인 김락수(류승룡)의 세계로 시청자들을 초대한다.

판매 직원으로 25년째 일하고 있는 그는 이제까지 단 한 번도 승진을 놓친 적이 없다. 뛰어난 판매 재능 덕분에 서울에 아파트를 소유하고 아들을 대학교에 보냈으며, 이는 모두 한국에서 중산층 성공의 오랜 상징이다. 김락수는 자신이 진정한 행복을 이룬 것이라고 확신한다.

하지만 그의 세계는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취약하다. 직장에서 젊은 관리들에게 밀리고, 집에서는 권위가 약해지고 있다.

그는 은퇴를 요구받을까 두려운 마음과 빠르게 임원으로 승진하고자 하는 열망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다. 이른 아침, 그는 Managing Director의 사무실에 몰래 들어가 의자에 앉아 임원처럼 행동해본다. 수십 년을 근무했지만 여전히 대리직에 머물고 있는 동료가 강등되어 울릉도로 전근 가자, 김락수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하늘의 별이 내게 떨어지지 않아 다행이다'라고 생각한다.

한 에피소드에서 그는 팀을 소집하여 진솔한 대화를 나누기로 결심하지만, 주니어 직원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지 않고 결국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된다. 가족 저녁 식사에서도 그의 일방적인 말투로 인해 독립하고 싶어 하는 아들과 갈등을 겪게 된다.

이 시리즈는 자존심과 고립감 사이에서 고군분투하는 남자의 취약성과 씁쓸한 유머를 담아내고 있다.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는 tvN의 드라마 "태풍가족"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시기의 서울로 관객을 이끌며 젊은 CEO와 그 직원들이 중소기업인 태풍무역에서 겪는 고난을 그린다.

비평가들은 "김석진의 꿈 같은 인생"과 "태풍가족"이 오늘날의 관객과 공명을 일으키는 이유는 한국이 3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괴롭히고 있는 경제적 불안정성과 불평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이 드라마들은 사람들이 직면하는 현실을 묘사하고 보상하는 환상의 형태로, 집단적인 무기력함과 닫힌 미래 의식을 전달한다"고 문화 비평가 정덕현은 말했다.

"김석진의 꿈 같은 인생"은 아시아 금융위기 시기에 성장한 남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태풍가족"은 위기 속에서 생존하려는 젊은이들의 성장 드라마이다.

"['김석진의 꿈 같은 인생']은 중년 남성이 성공의 환상을 해부하며 진정으로 잘 살았는지 자문하는 현실적인 드라마이다. 두 드라마 모두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변화한 사회와 가치관을 탐구하고 있다"고 정은 전했다.

"과거에는 회사가 평생 직장이었고, 회사가 직원들을 돌봤다는 생각이 있었으나,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에는 그런 안전망이 단순히 불가능해졌다."

한편, MBC의 "달빛으로 가는 길"은 KOCOWA에서 스트리밍되고 있으며 이번 주말에 결말을 맺는다. 이 드라마는 20대와 30대 여성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들은 스스로의 급여로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인공들이 암호화폐 투자 세계에 뛰어드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는 장류진의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다.

열악하고 누수가 있는 스튜디오 아파트에 사는 정다해(이선빈)는 다음 코인의 수익으로 드디어 학자금 대출을 갚을 수 있기를 꿈꾼다. 희망과 절망의 씁쓸한 묘사는 많은 시청자들의 가슴에 와 닿는다.

SBS의 로맨틱 코미디 "결혼할래요?"는 디즈니+에서 시청 가능하며 현대 한국에서 전염병 문제로 여겨지는 주택 사기를 다루어 현실감을 더한다. 주인공 메리(정소민)는 약혼자와 보증금을 모두 잃고, 자신의 남편으로 면서를 받을 수 있도록 옛 남자친구와 같은 이름을 가진 남자를 설득하여 신혼을 위한 주택 로또에 당첨되려 한다. 유머의 부조리함은 상처를 부드럽게 하지 않고, 대신 로맨스와 부동산이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강조한다.

정 평론가는 이러한 드라마들이 오늘의 깊은 문제를 드러낸다고 말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젊은이들의 미래가 완전히 막힌 것 같은 느낌을 전달한다... 왜 그렇게 많은 이들이 암호화폐에 매달리거나 해외 사기에 휘말리는가? 이는 합법적인 방식으로 돈을 버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그 의미에서 드라마는 이러한 결핍을 보완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태풍가족'은 야망과 노력이 여전히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시대를 회고적으로 묘사하여 그 공백을 채워준다"고 정은 전했다.

충남대학교의 한국어과 유은식 교수 또한 이러한 드라마들이 장르를 초월한 무기력한 감정을 공유한다고 동의하였다.

"이 등장인물들은 불가능한 탈출을 쫓는다 — 갑작스러운 비트코인 재산이나 운 좋은 로또 당첨 — 왜냐하면 느리지만 꾸준한 성공의 개념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드라마를 보면서 사기업이 조기 퇴직 연령을 계속 줄이고 있다는 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사람들은 여전히 조기 또는 강제 퇴직에 몰리고 있다. 아무리 재능 있고 성공적인 사람이라도 한 단계 올라가기 위해서는 동료를 초과해야 한다”고 유 교수는 말했다.

“이로 인해 아시아 금융위기 시대와 정말로 얼마나 다른지 궁금하게 되었다. 자신의 삶을 회사에 바친 후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마치 용도가 다한 물건처럼 버려질 수 있다는 사실이 씁쓸하게 느껴진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