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et Plus, K-pop 팬을 이해관계자로 전환, 4천만 사용자 확보 / Mnet Plus Engages K-pop Fans as Stakeholders with 40 Million Users Enrolled


CJ ENM announced on Tuesday that its global K-pop content platform, Mnet Plus, has surpassed 40 million cumulative app users and more than 20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both milestones achieved within three years of its launch.

Mnet Plus is a mobile-based platform that integrates streaming, fandom, and commerce. It allows global fans to access CJ ENM's original variety programs, music shows from Mnet, livestream major events such as KCON and the MAMA Awards, participate in fan votes and in-app missions, and collect digital merchandise, creating an all-in-one experience. Competing platforms include Weverse, DearU Bubble, and Fromm.

"Mnet Plus is more than a streaming service. It's a space where global fans take the initiative to shape their own K-pop experience," said a senior vice president during a Culture Talk session held at the company's headquarters in Seoul.

Since its launch in 2022, Mnet Plus has gained significant traction, particularly among younger audiences, with approximately 80 percent of traffic originating from overseas market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Indonesia.

The platform's success is attributed to exclusive content featuring top K-pop acts and original variety programs such as the horror survival reality show "SUMBAKKOKJIL." Its streaming and on-demand services for global music events have positioned it as a key player in K-pop's digital globalization.

The cornerstone of Mnet Plus's success is its "fanteractive" model, which promotes an interactive fan ecosystem. Through in-app voting and missions, users can influence the outcomes of Mnet's music shows and survival programs, transforming fans from spectator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the K-pop landscape.

"Our goal for the app is to build an integrated 'fanteractive' platform that connects content, fandom, and artists, redefining how global audiences engage with K-pop," the senior vice president explained.

One notable instance of fan participation occurred during the live finale of "Boys II Planet," which garnered over 3.5 million votes in a single day, peaking at over 70,000 votes per second. The 2024 MAMA Awards also received more than 70 million votes, highlighting the platform's significant level of fan engagement.

CJ ENM also announced upcoming updates for Mnet Plus, set for release next year, which will include four times more original and exclusive programming, enhanced global livestreaming capabilities, and new integrated commerce and community features.

To expand its reach, the company plans to introduce an ad-supported free viewing model while broadening premium content options for paying users.

"Unlike fandom apps built solely around artists, platforms built around content can go as far as creating culture itself," said a culture critic during the conference.

"Content-driven platforms aren't just expanding K-pop's reach. They're now becoming the engines that shape its future."




CJ ENM은 한국의 주요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기업 중 하나로, 화요일에 글로벌 K-pop 콘텐츠 플랫폼인 Mnet Plus가 출시 3년 만에 누적 앱 사용자 4000만 명과 월간 활성 사용자 2000만 명을 초과했다고 발표했다.

Mnet Plus는 스트리밍, 팬덤 및 상거래를 결합한 모바일 기반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CJ ENM의 원작 예능 프로그램과 음악 방송을 시청하며, KCON 및 MAMA Awards와 같은 주요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팬 투표 및 다양한 인앱 미션에 참여하며, 디지털 상품을 수집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플랫폼으로는 Weverse, DearU Bubble 및 Fromm 등이 있다.

김지원 Mnet Plus 부사장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CJ ENM 본사에서 열린 Culture Talk 세션에서 "Mnet Plus는 단순한 스트리밍 서비스가 아니다. 글로벌 팬들이 자신의 K-pop 경험을 주도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밝혔다.

2022년 출시 이후 Mnet Plus는 특히 젊은 세대인 Z세대와 Alpha 세대 사이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 트래픽의 약 80%가 미국,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해외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김 부사장은 전했다.

이 플랫폼의 인기는 K-pop 인기 아티스트와 독창적인 예능 프로그램들을 포함한 독점 콘텐츠 덕분이며, 특히 공포 생존 리얼리티 프로그램 "SUMBAKKOKJIL"과 같은 프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Mnet의 글로벌 음악 이벤트에 대한 스트리밍 및 주문형 서비스는 K-pop의 디지털 글로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김 부사장은 "팬터랙티브" 모델, 즉 "팬"과 "상호작용"의 결합이 성공의 핵심이라고 설명하며, 이는 단순한 수동적 시청을 넘어서는 상호작용적인 팬 생태계라고 밝혔다. 사용자는 인앱 투표와 미션을 통해 Mnet의 음악 프로그램과 생존 프로그램의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팬이 단순한 관람객에서 K-pop 풍경의 이해당사자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콘텐츠, 팬덤 및 아티스트를 연결하는 통합 '팬터랙티브' 플랫폼을 구축하여 글로벌 청중이 K-pop에 참여하는 방식을 재정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pop 경험을 단순한 시청에서 능동적인 참여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net Plus 플랫폼의 팬 참여의 가장 주목할 만한 예는 Mnet의 최신 글로벌 보이밴드 생존 리얼리티 쇼인 "Boys II Planet"의 생방송 결승에서 나타났으며, 하루에 350만 표 이상이 투표되었고, 초당 70,000표 이상에 달하기도 했다. 2024 MAMA Awards 또한 7000만 표 이상의 투표를 기록하여 이 플랫폼의 뛰어난 팬 참여 수준을 강조했다.

CJ ENM은 내년에 출시될 예정인 Mnet Plus의 향후 업데이트에 대해 네 배 더 많은 독창적이고 독점적인 프로그램이 포함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이름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향상된 글로벌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과 새로운 통합 상거래 및 커뮤니티 기능이 포함될 예정이다.

회사는 또한 광고 지원 무료 시청 모델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유료 사용자를 위한 프리미엄 콘텐츠 옵션도 늘릴 예정이다.

Cha Woo-jin K-Culture Lab의 문화 평론가는 "예술가만을 중심으로 한 팬 앱과는 달리, 콘텐츠 중심의 플랫폼은 문화 자체를 창조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콘텐츠 중심의 플랫폼은 K-pop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제 K-pop의 미래를 형성하는 엔진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