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피해자 외국인 가족, 진상 규명 및 책임 추궁 요구 / Foreign Families of Itaewon Disaster Victims Seek Truth and Accountability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deadly crowd crush in central Seoul’s multicultural Itaewon area, families of foreign victims gathered in Korea on Tuesday to mark the disaster’s third anniversary. Thirty-six bereaved relatives from 10 countries convened at a memorial in central Seoul, calling for truth, accountability, and stronger safety standards following the Halloween tragedy on October 29, 2022, which claimed 159 lives, including 26 foreign nationals.

Most victims were in their 20s and 30s and had come to Korea to study or experience its culture. Families remembered their loved ones’ aspirations and their trust that Korea would keep them safe.

"Accidents like this have never happened before. Why now? We still wake up every morning and hope this is just a bad dream," said a father of a Norwegian victim.

Another family member expressed their dismay, stating, "Our children loved Korea and came here to study … We thought Korea was safe. We just want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again — and hope for strong safety education from kindergarten onward."

According to a coalition of bereaved families, 46 family members representing 21 of the 26 foreign victims visited Korea for a week at the government’s invitation, traveling from 12 countries, including Iran, Russia, the United States, Australia, China, Japan, France, Austria, Norway, Sri Lanka, Kazakhstan, and Uzbekistan.

Like their Korean counterparts, they questioned why, three years later,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in holding officials responsible or explaining how such a tragedy could occur. Several criticized the lack of crowd control during the Halloween celebrations and noted that support after the disaster was inadequate, with some learning about the deaths from news reports or friends.

On the night of October 29, more than 130,000 people crowded into Itaewon’s streets, but the alley where the disaster unfolded had inadequate crowd control to prevent the deadly tragedy.

Three years later, the pain continues to linger for families, survivors, first responders, and local residents. Notably, two firefighters who responded to the tragedy died by suicide this year after struggling with the trauma caused by the event.

While the former administration often denied responsibility, the current government has acknowledged crowd management failures. However, victims’ families report that no senior officials have been held accountable, and thorough explanations have yet to be provided.

Last week, a government audit found that relocating the presidential office to Yongsan significantly increased security needs near the compound, leaving Itaewon largely unpatrolled on the night of the disaster.

"It was not a mere accident but a devastating collapse of public responsibility," said the Prime Minister during a memorial event attended by grieving families. The government plans to hold its first official joint memorial at Gwanghwamun Square on October 29 and sound a memorial siren at 10:29 a.m.

Yet for many Korean and foreign families, questions remain. "The bereaved families here had meetings (with the Korean government) only to answer their questions, but still received no answers for questions they have," said the leader of the Itaewon disaster family coalition. "Even three years later, there is no closure. We still wait for justice and for our voices to be heard."




서울의 다문화 지역 이태원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압사 사고로 인해, 외국인 희생자 가족들이 사고 3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에 모였습니다. 10개국에서 온 36명의 유가족들이 서울 중앙의 기념관에서 진실과 책임, 강력한 안전 기준을 촉구했습니다. 해당 사고는 2022년 10월 29일 할로윈 축제 동안 발생하여 159명의 생명을 앗아갔으며, 그 중 26명이 외국인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희생자는 20대와 30대의 젊은이들로 한국 문화를 경험하거나 학업을 위해 이곳에 온 사람들이었습니다. 가족들은 사랑하는 이들의 꿈과 한국이 그들을 안전하게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 희생자 스틴 로알크밤 에벤센의 아버지인 에릭 에벤센은 "이런 사고는 이전에 절대 없었습니다. 왜 하필 지금일까요? 매일 아침, 우리는 이게 단지 나쁜 꿈이라고 생각하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카자흐스탄 국적의 마디나 셰미야조바의 누나인 다미라는 "우리 아이들은 한국을 사랑하며 공부하러 왔습니다. 우리는 한국이 안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이런 사고가 다시 일어나지 않기를 원하며, 유치원부터 강력한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희망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희생자 유가족의 연합에 따르면, 26명의 외국인 희생자를 대표하는 46명의 가족들이 한국 정부의 초청으로 12개국에서 방문하였으며, 이는 이란, 러시아, 미국, 호주, 중국, 일본, 프랑스,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스리랑카, 카자흐스탄 및 우즈베키스탄이 포함됩니다.

한국인 유가족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3년이 지난 지금도 주요 책임자들이 처벌되지 않거나 이러한 비극이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고 질문했습니다. 몇몇은 할로윈 축제 동안의 인파 관리 부족을 비판하며 사고 이후 지원이 부족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부는 심지어 친구나 뉴스 보도로 희생 소식을 접하기도 했습니다.

2022년 10월 29일 밤, 130,000명 이상의 인파가 이태원의 거리로 몰렸지만, 사고가 발생한 골목은 치명적인 비극을 막기 위한 적절한 인파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3년이 지난 지금도 유가족, 생존자, 구조대원 및 지역 주민들에겐 여전히 아픔이 남아 있습니다. 실제로, 이 사고에 대응했던 두 명의 소방관은 이번 해에 사고로 인한 트라우마로 고통받다 자살했습니다.

이전 윤석열 정부는 책임을 부인했지만, 현 정부는 인파 관리 실패를 인정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생자 가족들은 아직 고위 공직자가 처벌받지 않았으며, 철저한 설명이 제공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 감사에 따르면, 청와대를 용산으로 이전함에 따라 보안 필요성이 크게 증가했으나, 사고 당시 이태원은 대부분 순찰되지 않았습니다.

김민석 총리는 "이것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공공 책임의 황폐화"라고 토요일 서울에서 열린 기념 행사에서 슬퍼하는 가족들 앞에서 말했습니다. 정부는 10월 29일 광화문 광장에서 첫 공식 공동 기념식을 개최하고 오전 10시 29분에 기념 사이렌을 울릴 계획입니다.

하지만 한국과 외국 가족들에게는 여전히 의문이 남아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 연합의 리더는 "여기 있는 유가족들은 (한국 정부와) 회의를 가졌지만, 그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듣지 못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3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정의를 기다리고 있으며, 우리의 목소리가 들리기를 바랍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