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 Tuesday, President Lee Jae Myung visite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Democracy, a site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the torture of pro-democracy activists, emphasizing the need for police reforms to restore public trust prior to proposed judicial reforms that would enhance their powers.
Following a ceremony for National Police Day, Lee toured the museum located in central Seoul, which was inaugurated in June after renovations from the former Anti-Communist Interrogation Office. This facility was notorious for its use in interrogating pro-democracy activists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 building is a symbolic space of state violence that reflects the dark history of the police under the military rule," stated a presidential spokesperson during a briefing.
The spokesperson noted that Lee's visit on this anniversary signifies the president's aspiration for the police to "not repeat their disgraceful history" and to evolve into a "democratic police" that gains public trust.
This visit coincides with the government's ongoing reforms aimed at separating indictment and investigative powers, as well as gradually enhancing regional police systems.
Among the exhibits that Lee viewed was a replica of the interrogation room whe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 Park Jong-chul was tortured to death in 1987, an incident that ignited a nationwide democracy movement two years later.
이번 화요일, 이재명 대통령은 경찰의 권한 확대를 위한 사법 개혁을 앞두고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한 개혁을 촉구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한 활동가들이 고문당했던 악명 높은 장소인 한국 민주주의 전시관을 방문했다.
이 대통령은 중앙 서울에 위치한 전시관을 둘러보며, 이 전시관이 반공 조사실에서 개조되어 6월에 개관한 곳임을 언급했다. 이 시설은 1970년대와 1980년대 동안 민주주의 활동가들을 심문하는 데 사용되었다.
대통령 대변인 강유정은 브리핑에서 "이 건물은 군사 정권 하에서 경찰의 암흑 역사를 반영하는 국가 폭력의 상징 공간"이라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방문이 경찰이 "그들의 불명예스러운 역사를 반복하지 않고, 대신 국민의 신뢰를 얻는 '민주 경찰'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대통령의 희망을 나타낸다"고 전했다.
경찰의 암흑 역사와 관련된 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기소와 수사 권한 분리를 목표로 하는 기소 개혁과 지역 경찰 시스템 점진적 확대를 추진하는 정부와 관련이 있다.
이 대통령이 둘러본 전시물 중 하나는 1987년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고문당해 사망한 심문실의 복제품이었다. 이 사건은 2년 후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의 촉발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