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banks have achieved significant success in their overseas localization efforts in Cambodia,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despite the country being embroiled in controversies related to online scams and other crimes targeting Korean nationals.
The ongoing issues surrounding crime rings in Cambodia are undermining the years of localization efforts and global expansion campaigns by Korean banks. Instead of being celebrated, this achievement has raised concerns that these banks may have been inadvertently used by criminal networks involved in serious offenses such as kidnapping, fraud, torture, and murder of Koreans in the region. Notably, the Prince Group has been designated by the U.S. Treasury as a “trans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
A report from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indicates that Cambodia ranked first among 41 countries for Korean banks’ overseas localization performance in 2024.
In the private sector, KB Kookmin Bank, Shinhan Bank, Woori Bank, and iM Bank each operate one corporate entity in Cambodia, while Jeonbuk Bank manages two. Additionally, state-run and government-affiliated banks, including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the Industrial Bank of Korea, NH NongHyup Bank, and Suhyup Bank, provide retail banking services through branches, subsidiaries, or liaison offices in the country.
The FSS awarded high scores to these institutions for their localization efforts, which included the proportion of local customers, employees, and executives, as well as their international business capabilities. These high scores compensated for a 9.2 percent decline in their combined net income, which decreased from $145 million in 2023 to $132 million in 2024.
Cambodia received the highest localization rating of 1+ in the FSS country assessment rankings, surpassing the average score of 1 across 41 countries, including Indonesia, Japan, and the Philippines.
However, civic groups and financial market experts caution that these high scores may overlook significant risks present in the region. An activist from the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CCEJ) stated, “The banks’ localization efforts are certainly commendable, but this situation highlights the risk that they may have been unknowingly used by Prince Group.”
Concerns are supported by separate FSS data released by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s National Policy Committee, which revealed that Prince Group conducted 52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Korean banks in Cambodia, totaling approximately 197 billion won ($137.7 million), with 91.2 billion won remaining in the banks’ local accounts.
Industry officials noted that Korean banks in Cambodia primarily provide retail services tailored to local customers, such as cash withdrawals, currency exchange, and credit card services. While these services aim to enhance customer convenience, they may also inadvertently facilitate organized crime operations against Korean victims.
Given the circumstances, the CCEJ activist emphasized the need for greater caution from Korean banks operating in foreign markets and urged the FSS to reconsider its evaluation criteria to ensure that global expansion efforts do not compromise financial security.
한국 은행들이 온라인 사기 및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캄보디아에서 해외 현지화에 가장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정부 데이터가 나타났다.
캄보디아의 범죄 조직에 대한 논란은 한국 은행들의 다년간의 현지화 노력과 글로벌 확장 캠페인을 undermining하고 있다. 이 성과는 축하받기보다는 범죄 네트워크에 의한 무의식적인 이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해당 범죄는 납치, 사기, 고문 및 심지어 한국인 살해와 관련이 있다. 이들 중에는 미국 재무부에 의해 "초국가적 범죄 조직"으로 지정된 프린스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금융감독원(FSS)의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2024년 한국 은행의 해외 현지화 성과에서 41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민간 부문에서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M은행이 각각 캄보디아에 한 개의 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북은행은 두 개를 운영하고 있다.
국책은행 및 공공기관 affiliated 은행 중 한국수출입은행, 산업은행, NH농협은행, 수협은행도 지점, 자회사 또는 연락 사무소를 통해 해당 국가에서 소매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FSS는 이들 비즈니스의 현지화 노력, 즉 현지 고객, 직원 및 경영진의 비율, 그리고 국제 비즈니스 능력 등을 높은 점수로 평가했다.
이러한 점수는 2023년 1억 4500만 달러에서 2024년 1억 3200만 달러로 줄어든 9.2% 감소에서 비롯된 약점을 상쇄할 만큼 높았다.
캄보디아는 FSS 국가 평가 순위에서 최고 현지화 등급인 1+를 받았으며, 이는 인도네시아(1), 일본 및 필리핀(1-)을 포함한 41개국 평균 점수인 1을 초과한 것이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금융시장 전문가는 이러한 높은 점수가 현지에서의 심각한 위험을 간과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민경제정의연대(CCEJ)의 한 활동가는 “은행의 현지화 노력은 분명 칭찬할 만하지만, 현재 상황은 그들이 프린스 그룹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우려는 국회 국가정책위원회의 일원인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확보하여 공개한 FSS의 별도 데이터에 근거하고 있다.
해당 데이터에 따르면, 프린스 그룹은 캄보디아의 한국은행을 통해 52건의 금융 거래를 수행했으며, 그 규모는 약 1,970억 원(1억 3,770만 달러)에 이른다.
그중 912억 원이 은행의 현지 계좌에 남아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캄보디아의 한국은행들이 주로 현지 고객의 요구에 맞춘 소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현금 인출, 환전 및 신용카드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는 고객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해 도입됐으나, 조직 범죄가 한국인 피해자에 대한 범죄를 수행하기 쉽게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CCEJ의 활동가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할 때, 캄보디아의 한국은행 자회사가 범죄 조직에 의해 이용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은행은 해외 시장에서 보다 신중하게 운영해야 하며, FSS는 금융 안전이 희생되지 않도록 글로벌 확장 노력을 평가하는 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