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 during his court testimony, referred to several leaders he met at last year’s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and Group of 20 (G20) summits as “leftist populists.” He suggested that such multilateral gatherings should be attended by the prime minister rather than the president.
The comments were made on Wednesday while Yoon was testifying in the trial of former Prime Minister Han Duck-soo, who faces charges related to Yoon's controversial declaration of martial law.
During the hearing, prosecutors inquired if Yoon had instructed Han to attend diplomatic events on his behalf in late November, just before the martial law was declared on December 3. Initially, Yoon refrained from answering but later conceded that he “may have said something to that effect.”
Yoon elaborated on his experiences at the summits in Peru and Brazil, mentioning that he encountered “so-called leftist populist government leaders” who were invited despite their countries not being members of the global forums. He noted that “some countries were asking for aid from better-off countries” and highlighted the presence of “nonmember” participants.
Although Yoon did not specify the countries, he attended the APEC summit in Lima, which included Brazilian President Lula da Silva, despite Brazil not being an APEC member. He also participated in the G20 summit in Rio de Janeiro, where leaders from emerging economies, including some with left-leaning administrations, were present.
Yoon indicated that these experiences shaped his perception of which diplomatic events necessitated presidential attendance, suggesting he might ask Han to attend similar meetings in the future to allow him to concentrate on more critical diplomatic efforts.
The remarks surfaced during questioning about reports that Yoon had asked Han to cover some presidential-level engagements. Prosecutors argued that such instructions contradicted Yoon’s assertion that the martial law declaration was only a temporary measure.
Yoon’s testimony also involved discussions with Han prior to the martial law declaration. When asked if Han opposed the measure, Yoon stated that Han had “asked him to reconsider” and expressed what Yoon interpreted as objections.
In response to Yoon’s remarks, Kim Byung-kee, floor lead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described them as “shocking.” He criticized Yoon for his comments regarding “better-off countries” and “leftist leaders who were not even original members,” arguing that they reflect a lack of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ummit operations and the distinctions between member states and invited participants.
Kim concluded by suggesting that Yoon’s mindset and judgment in summit diplomacy could be called into question based on his remarks.
전 대통령 윤석열은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및 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여러 지도자들을 “좌파 포퓰리스트”라고 묘사하며 이러한 다자 회의에는 대통령이 아닌 총리가 참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이번 주 초 법정에서의 증언에서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수요일에 한덕수 전 총리의 재판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이러한 발언을 했다. 한 전 총리는 윤 전 대통령의 실패한 계엄 선언과 관련된 혐의를 받고 있다.
재판 중 검사들은 윤 전 대통령에게 그가 한 전 총리에게 11월 말, 즉 12월 3일 계엄 선언 직전 외교 행사에 대신 참석하도록 지시했는지 질문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처음에는 답변을 거부했으나, 이후 “그런 취지의 말을 했을 수도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페루와 브라질에서 열린 다자 회의 경험을 설명하며, 자신이 “소위 좌파 포퓰리스트 정부 지도자들”을 만났다고 말했다. 이들은 “해당 국가들이 글로벌 포럼의 회원도 아닌데도 대거 초대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부 국가들은 부유한 국가들로부터 지원을 요청하고 있었다”고 말하며 “비회원” 참여자들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들 국가의 구체적인 이름은 언급하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윤 전 대통령은 리마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 참석했으며, 이 회의에는 브라질 대통령 루라가 참석했으나, 브라질은 APEC 회원국이 아니다. 이어 그는 리오데자네이로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했으며, 이 회의에는 중동, 아프리카 및 남미의 신흥 경제국으로부터 초청된 지도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정부들 중 일부는 좌파 성향의 행정부가 이끌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러한 경험이 어떤 외교 행사가 대통령의 참석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견해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해에 한 전 총리에게 이런 종류의 회의에 참여하도록 요청해 윤 자신이 “중요한 외교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고려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검사들이 그가 한 전 총리에게 일부 대통령급 행사에 참석하도록 요청했다는 보도에 대해 질문할 때 이러한 발언이 공개됐다.
검사들은 이러한 지시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언을 임시 조치로 했다는 주장과 모순된다고 제기했다.
윤 전 대통령의 증언에는 계엄 선포 이전의 한 전 총리와의 논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한 전 총리가 계엄 선포에 반대했는지 질문받자, 윤 전 대통령은 전 총리가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고, 그가 이해한 반대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윤 전 대통령의 발언을 “충격적이다”고 평가했다.
"윤은 '부유한 국가들' 및 '원래 회원도 아닌 좌파 지도자들'이라는 발언을 했다. 이는 그가 국제 정상회의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회원국과 초청 참여자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다른 국가들을 비하하는 데 집중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가 정상외교에 가지고 있었던 사고방식과 판단이 어떤 것이었는지 쉽게 상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