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앞두고 기대 이하의 한국 축구팀 모습 / South Korea's National Team Fails to Inspire Confidence Ahead of World Cup


The South Korean men's national football team achieved a record of eight wins, three draws, and two losses in the past year, suggesting a successful season for those who adhere to the philosophy that "a win is a win." However, a deeper analysis reveals significant flaws within the team that need urgent attention before the 2026 FIFA World Cup.

Under the coaching of Hong Myung-bo, the team, currently ranked 22nd, secured victories against 76th-ranked Bolivia (2-0) and 73rd-ranked Ghana (1-0) in their last two matches of the year. Despite these results, fan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team's inability to convincingly defeat lower-ranked opponents.

The year began poorly, with South Korea managing only 1-1 draws against Oman and Jordan—teams considered heavy underdogs. These performances prompted Hong to label the draw against Oman as "the worst performance" of the Asian World Cup qualification phase. Subsequently, the team secured their World Cup spot with two wins in June.

In July, as hosts of the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E-1 Football Championship, South Korea won matches against China and Hong Kong but was defeated by Japan in the final. The team then traveled to the United States in September, where they defeated the U.S. 2-0, a highlight of their campaign, and drew 2-2 with Mexico.

A significant setback occurred with a humiliating 5-0 loss to Brazil in October, which resulted in a noticeable decline in fan attendance at subsequent matches. The match against Paraguay on October 14 drew only 22,000 spectators, the lowest turnout for the men’s national team in a decade. The recent match against Ghana attracted approximately 33,000 fans, raising concerns about fan engagement ahead of the World Cup.

Criticism has been directed at Hong for his lack of tactical innovation and overreliance on individual talents. The offensive strategy has appeared stagnant and predictable, raising concerns for the team's potential performance against stronger opponents in the World Cup.

In their November matches, South Korea notably missed midfielder Hwang In-beom, who was sidelined due to injury. The rest of the midfield struggled to replicate his effectiveness, leading to frustrations in both games. Hong acknowledged that the underperformance of the midfielders affected the overall team dynamic.

Lee Kang-in, emerging as a team leader, emphasized the need for the players to focus on their game and not be swayed by public opinion. He recognized fans' dissatisfaction while reiterating the importance of team cohesion in their preparation for the World Cup.

Veteran player Hwang Hee-chan characterized the year as successful due to the number of wins against strong teams. H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esults in football and expressed optimism about the team's growth and confidence for future matches.




"이겼다는 것은 이겼다는 것"이라는 신념을 가진 이들에게 남자 국가대표 축구팀은 8승 3무 2패로 매우 좋은 한 해를 보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2026 FIFA 월드컵을 앞두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는 결점투성이의 팀이라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홍명보 감독의 지휘 아래, 22위에 랭크된 한국은 지난 금요일 76위 볼리비아를 2-0으로 이기고, 이어 화요일 73위 가나를 1-0으로 이겼다. 홍 감독은 한국이 FIFA 랭킹을 유지하고 다음 달 월드컵 조 추첨에서 유리한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결과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지만, 약팀을 상대로 convincingly 이기지 못한 팀의 모습은 팬들에게 안 좋은 인상을 남겼다.

올해 내내 한국이 계속해서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하고 팬들의 불만을 샀던 것은 이러한 주제가 반복되는 모습이었다.

한국은 올해를 오만과 요르단이라는 두 약팀과의 홈 경기에서 연속 1-1 무승부로 시작했다. 이러한 경기는 아시아 월드컵 예선 3라운드 중에 있었으며, 홍 감독은 오만과의 무승부를 "최악의 경기력"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은 이후 두 경기에서 연속 승리를 거두며 6월 월드컵 티켓을 확보했다. 그 후 7월 동아시아축구연맹 E-1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중국과 홍콩을 연달아 이기고 일본에게 패하여 지역 타이틀을 놓쳤다.

한국은 9월 미국에서 두 번의 친선 경기를 하였고, 미국을 2-0으로 이긴 후 멕시코와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미국에 대한 승리는 올해 한국의 가장 완벽한 경기였으며, 견고한 수비가 20위 내의 상대를 막아냈고, 캡틴 손흥민이 골과 도움을 기록했다.

그러나 10월 10일 서울 월드컵 경기장에서 열린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5-0으로 패하면서 63,000명 이상의 팬들 앞에서 부끄러운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 더 큰 점수로 질 수도 있는 경기를 펼쳤다.

팬들은 점차 경기장에서 멀어졌고, 10월 14일 같은 서울 경기장에서 파라과이를 2-0으로 이길 때 관중은 22,000명에 불과했다. 이는 남자 국가대표 축구팀 경기에서 10년 만에 가장 적은 관중 수였다. 화요일 가나와의 경기는 약 33,000명의 팬들이 모였고, 추운 날씨를 감안하더라도 월드컵을 앞둔 마지막 홈경기였던 만큼 충격적으로 낮은 수치였다. 한국 축구협회는 다음 해 3월 월드컵을 앞둔 튼튼한 경기를 잡으려 하고 있다.

2024년 여름 한국 대표팀을 재임한 홍 감독은 전술적 창의성이 부족하고, 일부 선수의 개인 재능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비판을 자주 받았다. 홍 감독 하의 공격은 일반적으로 흐름이 부족하고 예측 가능성이 강했다.

손과 플레이메이킹 미드필더 이강인이 친구나 월드컵 예선에서 더 낮은 상대와의 경기에서 뛰어난 활약을 하는 것은 하나의 문제다. 하지만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tougher 상대와 만나게 되고 그 팀은 이러한 스타 선수들에게 강력한 수비를 펼칠 것이다.

11월 두 경기에서 한국은 네덜란드 클럽 페이엔오르드에서 뛰고 있는 미드필더 황인범을 크게 그리워했다. 나머지 미드필더들은 황의 두 가지 역할인 수비에서의 차단과 기회를 창출하는 데 있어 그에 미치지 못했다.

홍 감독은 화요일 가나와의 경기에서 미드필더들의 부진이 팀 전체의 경기력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인정했으나, 황의 월드컵 복귀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나의 선수가 팀의 흐름을 이렇게 바꿀 수 있다는 것은 문제 그 자체다.

점차 한국 대표팀의 목소리 있는 리더로 자리 잡은 이강인은 팀원들과 외부의 소음에 신경 쓰지 않겠다고 밝혔다.

"축구 팬들은 각기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고, 선수들조차 다양한 방식으로 경기를 이해한다. 팬들이 우리 팀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 이해가 된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러한 목소리보다는 팀을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경기를 하길 바라지만, 월드컵을 준비하면서 팀에게 유리한 플레이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75경기의 베테랑 황희찬은 2025년이 강력한 팀과의 많은 경기를 승리한 성과를 가진 해라고 말했다.

"축구에서 결과는 정말 중요하며, 올해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냈다"라고 황이 말했다. "이번 캠프가 우리 팀을 더욱 가깝게 만들어 주었고, 우리는 일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더 커졌다. 다음 경기 창구(3월)를 기다릴 수 없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