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capital is once again the stage for a familiar political feud as the mayor's bid to construct a high-rise opposite the UNESCO-listed Jongmyo Shrine has ignited a fresh round of conflict with the central government.
This confrontation is not unprecedented; it marks the latest chapter in Seoul’s long history of political friction over significant development projects. It highlights a broader dilemma the city has faced for decades: how to pursue growth without erasing its ancient identity. This ongoing tension places the mayor’s modernization efforts at odds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responsibility to protect national heritage.
The Sewoon redevelopment project, now referred to as the “Jongmyo war,” has become a battleground between urban renewal and cultural preservation. After the city moved to ease height limits and allow buildings up to 141.9 meters, cultural authorities expressed concerns that the plan could jeopardize the shrine’s World Heritage status and took the issue to court. Although the Supreme Court sided with the city, the dispute persists.
This high-profile situation is the latest in a series of contentious megaprojects where the city government has encountered political challenges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2003-2005) is often cited by conservative lawmakers as an example of how initial resistance to development can shift to broad public support. The project aimed to revive the historic stream running through downtown and was a focal point of the 2002 mayoral campaign.
Before his presidency, the conservative mayoral candidate campaigned on the revival of Cheonggye Stream, while his liberal opponent warned it would lead to urban chaos. Despite significant opposition, including concerns about resident displacement and traffic congestion, the project commenced in July 2003 and was completed two years later. Today, the restored stream is regarded as one of Seoul’s most beloved public spaces and a major tourist attraction.
The construction of Lotte World Tower (2009-2016), Korea’s tallest building, also faced strong political opposition from the liberal party. After Lotte purchased the site in 1988, it took 21 years for final approval to be granted in 2009, during which liberal lawmakers demanded extensive safety reviews.
Critics argued that the 555-meter skyscraper could disrupt military flight paths, posing risks to public safety. Despite the controversy, the project received the necessary approvals and now anchors the city’s southeastern skyline.
During periods of liberal control in the city administration, the conservative party opposed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Seoullo 7017 (2017), an elevated linear park built atop the former Seoul Station overpass.
Initiated by a progressive mayor and inspired by New York City’s High Line, the project aimed to transform the aging flyover into a pedestrian-friendly green corridor. While supporters praised its revitalization efforts, critics warned of potential traffic issues and economic impacts on nearby businesses. Today, Seoullo 7017 is recognized for its botanical promenade and unique urban walking experience, although the current mayor has suggested a review of its viability.
The renovation of Gwanghwamun Square (2020-2022) also faced opposition from the conservative party. Originally envisioned by a previous mayor, the project aimed to create an accessible civic gathering space in the heart of Seoul.
Public consultations began in 2016, with construction starting in 2020 and completion in 2022 under the current mayor. The project faced criticism from conservatives, who labeled it as wasteful and rushed. However, many urban planners and residents have positively assessed the completed project for its improvements to walkability and the creation of an urban oasis.
서울시가 UNESCO에 등재된 종묘 맞은편에 고층 건물을 건설하려는 오세훈 시장의 계획으로 인해 중앙 정부와의 새로운 정치적 갈등이 시작됐다.
이번 대결은 결코 낯선 것이 아니다. 서울의 주요 개발 프로젝트를 둘러싼 오랜 정치적 마찰의 최신이자 가장 중대한 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서울이 고대 정체성의 흔적을 지우지 않으면서 성장을 어떻게 추구할 것인지에 대한 더 넓은 딜레마를 강조한다. 이러한 긴장은 시장의 현대화 추진과 중앙 정부의 국가유산 보호 책임이 충돌하는 문제를 반복적으로 불러왔다.
세운 재개발 프로젝트는 도시 재생과 문화 보존 간의 대결로 변모하고 있다. 서울시가 높이 제한을 완화하고 141.9미터의 건축을 허용하자 문화 당국은 이 계획이 종묘의 세계문화유산 지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법원에 이 문제를 제기했다. 대법원은 서울시에 손을 들어주었지만,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 고프로필 드라마는 서울시 정부의 도시 개발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나타난 일련의 논란의 여파로 나타났다.
2003-2005년 청계천 복원
도시 개발을 지지하는 보수 의원들은 청계천 복원이 초기 저항을 넘어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받았던 사례라고 언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다운타운의 역사적 개천을 되살리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2002년 시장 선거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대통령이 되기 전 보수당 시장 후보인 이명박은 청계천 복원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의 진보적 상대인 김민석(현 국무총리)은 이 프로젝트가 도시 혼란을 초래하고 "최악의 약속"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거 취약계층의 이주와 극심한 교통 혼잡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명박은 복구를 강행했다. 2003년 7월 착공한 이 프로젝트는 결국 이명박의 초기 비전을 초월한 자연 중심의 디자인을 채택했다. 오늘날 복원된 청계천은 서울의 가장 사랑받는 공공 공간 중 하나이자 주요 관광지로 여겨진다.
2009-2016년 롯데월드타워
첫 번째 정치적 반대에 직면한 또 하나의 눈에 띄는 개발 프로젝트는 잠실에 세워진 한국의 가장 높은 빌딩인 롯데월드타워의 건설이었다.
롯데는 원래 1988년에 해당 부지를 매입했으나, 21년과 여러 차례의 정부 검토 후 2009년에 최종 승인이 이루어졌다. 진보적 의원들은 강력한 비판을 하며 종합 안전 검토를 요구했다.
계획된 555미터 높이의 마천루가 인근 서울 공군 기지의 비행 경로를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공공 안전과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이었던 이재명(현 대통령)은 이 승인에 대해 국가 안보와 시민 권리를 위협하는 "명백한 헌법 위반"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수년간의 저항과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젝트는 결국 시민과 중앙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오늘날 롯데월드타워는 서울의 동남쪽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는 주요 랜드마크로 자리 잡고 있다.
2017년 서울로 7017
진보 정당이 서울시 정부를 장악했을 때, 보수 정당 또한 대규모 개발에 반대했다. 주목할 만한 경우가 서울역 고가도로 위에 세운 서울로 7017이다.
진보적 시장인 박원순의 주도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뉴욕의 하이라인에서 영감을 얻어 노후된 1970년대 고가도로를 보행자 친화적인 녹색 통로로 탈바꿈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지지자들은 이 프로젝트가 역 주변의 분리된 지역을 재연결하고 지역 사회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보수당 비판자들은 교통 혼잡과 인근 기업에 대한 경제적 피해를 우려했다.
오늘날 서울로 7017은 토종 식물들이 자생하는 식물 산책로를 제공하며, 주민과 관광객에게 독특한 도시 산책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지지자들은 이로 인해 지역이 밝아지고 활성화되었다고 평가하면서, 오 시장은 이 프로젝트의 성과가 부족하다며 향후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2022년 광화문 광장 리노베이션
보수 정당의 반대가 또 다른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논란을 낳았다. 광화문 광장 개발이다.
원래 박 시장에 의해 구상된 이 프로젝트는 서울의 중심부를 접근 가능한 시민 집회 장소로 변모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박 시장은 2011년 보궐선거 승리 직후 이 비전을 제시하며, 2016년에는 계획을 다듬기 위해 공공 협의와 포럼을 진행했다. 2020년, 박 시장의 임기 후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2022년에 완공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보수 진영으로부터 낭비적인 "광장 성형 수술"이라는 날카로운 비판을 받았고, 시 관계자들이 충분한 검토 없이 결정을 서두르고 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도시 계획가, 시민 단체 및 서울 주민들은 완공 이후 광장의 보행성을 개선하고 도시 오아시스로 탈바꿈시킨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