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head of South Korea's antitrust watchdog has highlighted challenges in implementing new legislation aimed at regulating global online platforms, influenced by changing trade dynamics due to U.S. trade policy.
Last month, South Korea and the U.S. finalized an agreement regarding a $350 billion investment package linked to a broader trade deal.
During these negotiations, concerns were raised by Washington about several non-tariff measures adopted by Seoul, particularly its regulatory stance on online platforms.
"It remains essential to establish fair and transparent business practices in the platform sector that is deeply embedded in people's daily lives," stated the chairma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FTC) during a press briefing.
However, he acknowledg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introduce related legislation at this time due to ongoing trade issues, indicating complications in Seoul's trade relations with Washington.
Despite these challenges, he noted that there are still avenues to regulate platforms within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President Lee Jae Myung has committed to addressing market dominance abuses by global online platform operators through new regulations, which may include limits on commission fees and prohibitions on unfair practices.
The chairman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for small and venture businesses, as well as consumers, to have full rights to benefit from innovation opportunities.
Concerning Baedal Minjok, or Baemin, one of the largest food delivery platforms in the country, the FTC is currently reviewing allegations that the company violated fair trade laws by pressuring restaurants to use its delivery service over others.
The watchdog is expected to make a final decision, which may involve corrective orders or fines for Woowa Brothers Corp., the operator of Baemin, following the receipt of the company's formal opinion.
"The FTC will revise its policy direction and strengthen its organization and capabilities to correct imbalances among market participants and create a fair and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the chairman concluded.
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 수장이 미국의 무역 정책에 따른 무역 역학 변화 속에서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을 보다 잘 규제하기 위한 새로운 법률 도입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지난달 한국과 미국은 광범위한 무역 협정과 연계된 한국의 3,500억 달러 규모 투자 패키지의 세부 사항에 대해 합의했다.
협상 중에 워싱턴은 서울이 채택한 여러 비관세 조치, 특히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규제 접근 방식에 대해 우려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거래위원회(FTC) 위원장인 주형기 씨는 금요일 기자들에게 "국민의 일상에 깊숙이 뿌리박힌 플랫폼 분야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사업 관행을 정립하는 것이 여전히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무역 이슈가 여전히 관련되어 있어 당장 관련 법안을 도입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하며 서울의 워싱턴과의 무역 관계와 연관된 어려움을 시사했다.
그는 "다만, 기존의 법 체계 내에서도 플랫폼을 규제할 방법은 여전히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들의 시장 지배 남용을 억제하기 위해 수수료 한도 및 불공정 행위 금지 등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주 위원장은 소기업, 벤처 기업, 소상공인 및 소비자들이 혁신이 제공하는 기회를 충분히 공유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최대 음식 배달 플랫폼 중 하나인 배달의 민족에 관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가 해당 회사가 공정 거래법을 위반했는지 검토하고 있으며 적절한 제재 수준을 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달의 민족은 식당들이 자사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하는 경우에도 '배달의 민족'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압박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감독 기관은 회사의 공식 의견을 받은 후 우아한형제들에 대한 시정명령이나 벌금이 포함될 수 있는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주 위원장은 "공정거래위원회는 시장 참가자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공정하고 경쟁적인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책 방향을 수정하고 조직과 능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