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은행 지점 및 ATM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 제기 / Concerns Rais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Shared Bank Branches and ATMs


Commercial banks are increasingly adopting joint retail branches and shared ATM booths to balance in-person and digital servic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is strategy remains uncertain due to varying operational practices among banks, according to industry officials.

Data from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ndicates that the four largest commercial banks—KB Kookmin, Shinhan, Hana, and Woori—have reduced their combined branch network by 26 percent, decreasing from 3,625 in 2019 to 2,688 as of June. Additionally, the number of ATMs fell from 33,707 in 2020 to 25,987 in July.

These reductions are primarily driven by the increase in non-face-to-face transactions and ongoing cost-cutting efforts, which have progressively excluded some customers, particularly older adults with limited digital skills, from accessing banking services.

To address this issue, banks have partnered to open joint branches and share ATMs, aiming to cut costs while still providing access to in-person banking services. These branches are designed to enhance convenience by enabling customers to perform various transactions—such as deposits, withdrawals, transfers, and bill payments—at a single location shared by multiple banks.

Despite initial expectations that these arrangements would improve financial accessibility and gain popularity, their expansion has been limited. Currently, there are only five joint branches operating nationwide, including locations in Yongin, Yeongju, Yangju, Busan, and Daejeon.

Furthermore, only four shared ATMs have been installed, each situated in traditional markets in rural areas, such as Samcheok in Gangwon Province and Taean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dustry officials have noted several reasons for the limited adoption of joint branches. Differences in banks’ IT systems, security protocols, operating hours, and teller procedures complicate full integration. Additionally, conflicts over brand visibility and customer traffic present ongoing challenges.

Lee Si-yeon, a research fellow at the Korea Institute of Finance, commented that joint branches offer limited motivation in terms of cost efficiency and are unlikely to fully replace regular branches. She also mentioned that the service quality at joint branches may not match that of standard branches, and customer awareness of these branches is likely low.

Shim Yun-bo, senior researcher at the Hana Financial Research Institute, called for a review and overhaul of relevant banking regulations to ensure financial access for vulnerable groups, suggesting that lessons could be learned from overseas models.




상업 은행들이 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서비스를 균형 있게 제공하기 위해 공동 소매 지점과 공유 ATM 부스를 채택하고 있지만, 은행의 운영 관행이 다양하여 이러한 전략의 효과는 불확실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이 금요일 밝혔다.

금융감독원이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국내 4대 상업 은행인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의 지점 네트워크는 2019년 3,625곳에서 2023년 6월 기준 2,688곳으로 26% 감소했다. 또한, ATM 대수는 2020년 33,707대에서 2023년 7월 25,987대로 줄었다.

비대면 거래의 증가와 지속적인 비용 절감 압력 때문에 이러한 감소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한계가 있는 고객들, 특히 일부 노인층을 은행 서비스에서 점점 더 제외시키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은행들은 비용 절감과 대면 은행 서비스 접근성을 유지하기 위해 공동 지점과 공유 ATM을 개설하기 위한 협력에 나섰다.

이들 지점은 고객들이 한 장소에서 대부분의 거래를 처리하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여러 은행이 하나의 공간을 공유하여 예금, 인출, 송금 및 청구서 지불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재정적 접근성을 개선하고 인기를 끌 것이라는 초기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점들의 확장은 제한적이었다.

한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공동 지점은 5곳뿐이다: 경기도 용인에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경상북도 영주 및 경기도 양주에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부산에 BNK부산은행과 KB국민은행, 대전에서 KB국민은행과 씨티은행이다.

이 중 2022년에 4곳이 개설되었고, 2023년에 1곳이 개설되었으며 작년에는 새로운 지점이 열리지 않았다.

ATM의 경우, 현재까지 설치된 공유 기계는 4대뿐이며, 각각 강원도 삼척, 경상북도 청도군, 전라북도 부안군, 충청남도 태안의 전통 시장에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공동 지점이 더 널리 채택되지 못하는 이유가 명확하다고 언급하며, 은행 간 IT 시스템, 보안 프로토콜, 운영 시간, 창구 절차의 차이로 인해 완전한 통합이 어렵다고 밝혔다. 브랜드 가시성과 고객 유입에 대한 갈등도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금융연구원 이시연 연구원은 “공동 지점은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한정된 동기를 제공하며, 일반 지점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각 공동 지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범위가 다르며, 표준 지점과 동일한 양과 질의 서비스를 보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고객 인식 또한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연구소의 심윤보 수석 연구원은 “해외 사례를 참조하여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련 은행 규제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