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연령 65세로 연장 논의 가열 / Retirement Age Extension to 65 Sparks Controversy


Debate is intensifying over the proposal to raise Korea's statutory retirement age from 60 to 65, as the ruling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cites the nation's transition to a super-aged society as justification for the change.

Critics of the proposal argue that increasing the retirement age could limit job opportunities for younger workers and impose additional burdens on companies already grappling with high labor costs.

The DPK has stated that its special committee on the retirement age is engaging in discussions with prominent labor and busines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FKTU), and the Korea Enterprises Federation (KEF), to align their positions on the proposed legislation.

The ruling party aims to pass the bill by the end of the year, with gradual increases beginning in 2027 to reach the age of 65 by 2033.

Raising the retirement age was a key campaign promise of President Lee Jae Myung and is considered a significant national priority. If implemented, this would be the first increase since the retirement age was raised from 58 to 60 in 2016.

"Respecting the value of labor is the ultimate goal of the Lee Jae Myung government and our party. We will cooperate to achieve this goal and continue to pool our wisdom," stated DPK Chairman Rep. Jung Chung-rae during a recent policy meeting at KCTU headquarters.

Labor groups are advocating for the swift passage of the legislation, emphasizing that raising the retirement age is crucial as Korea transitions into a super-aged society. They warn that maintaining the current retirement age could create a gap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those born between 1964 and 1974, before they become eligible for national pension benefits.

On Saturday, the two major trade union federations held a rally in Seoul, demanding labor rights and the prompt passage of the retirement age extension bill. They cautioned that failing to raise the retirement age could exacerbate elderly poverty and increase welfare spending.

Conversely, the business community has expressed concerns. The KEF, a leading business lobby, has called fo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proposal, highlighting potential impacts on labor costs and the overall job market.

The KEF has suggested enacting a separate law to encourage the reemployment of older workers,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raising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They also recommended that initial efforts to extend employment be tailored based on company size and type.

Government data indicates a significant drop in the number of regular employees—those expected to remain in their jobs for at least a year—at age 60 under current labor law. For instance, among workers born in 1964, approximately 55,000 regular employees left their positions between ages 59 and 60, with a sharper decline in large corporations where nearly half of employees in that age group exited their roles.

These statistics suggest that extending the retirement age by one year could keep around 50,000 older workers employed, potentially tightening an already competitive job market for younger Koreans.

However, this proposed change carries significant economic risks, particularly for younger job seekers. A report from the Bank of Korea (BOK) published in April indicated that for every older worker who remains employed, between 0.4 and 1.5 jobs for youth are lost. The report warned that this effect could worsen as the ongoing economic slowdown diminishes companies' ability to hire new employees.

"Considering the experience of the 2016 retirement age extension and cases in Japan, promoting continued employment of older workers would be more effective through post-retirement reemployment rather than simply extending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the report concluded.




한국의 법적 정년 연장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으며, 집권 민주당이 초고령 사회로의 이행을 이유로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높이려 하고 있다.

비판자들은 이 조치가 젊은 근로자들의 일자리 기회를 줄이고, 이미 높은 인건비에 직면한 기업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민주당은 정년 연장 특위가 한국 노총, 한국 산업 단체 총연합회 등 주요 노동 및 기업 단체와 법안에 대한 의견 조율을 위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집권당은 올해 안에 법안을 통과시킬 것을 약속하고, 2027년부터 점진적인 증가를 시작해 2033년까지 정년을 65세로 올릴 예정이다.

정년 연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이며, 여전히 국가의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이 법안이 시행되면, 2016년 58세에서 60세로 법적 정년을 높인 이후 최초의 연장이 될 것이다.

정당의 정려 회의에서 민주당 의장 정청래는 “노동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이 이재명 정부와 우리 당의 궁극적인 목표”라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지혜를 모으겠다”고 밝혔다.

노동 단체들은 정년 연장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법안의 신속한 통과를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현재의 정년 연장을 유지하면 1964년부터 1974년 사이에 태어난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가 국민연금 혜택을 받기 전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주요 두 노동조합 연합은 서울에서 집회를 열고 노동 권리와 정년 연장 법안의 신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이들은 정년 연장을 하지 않을 경우 노인 빈곤이 악화되고 복지 지출이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업계는 신중함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 기업 연합회는 최근 국회에 제출한 권고안에서 제안에 대한 신중한 검토를 촉구하며, 노동 비용과 더 넓은 고용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경고했다.

KEF는 법적 정년 연장에만 의존하기보다는 고령 근로자의 재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별도의 법을 제정할 것을 제안했다. 초기 고용 연장 노력은 기업 규모와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노동 법에 따르면 정년 60세에 일반 직원 수가 급격히 감소한다.

1964년에 태어난 근로자들 중, 59세에서 60세 사이에 일반 직원 수가 약 55,000명 감소했다. 대기업에서는 해당 연령대의 직원 거의 절반이 직장에서 퇴직했다.

이러한 수치는 정년을 1년 연장할 경우 최대 50,000명의 고령 근로자를 고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미 어려운 젊은 한국인들의 일자리 시장을 더욱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안된 해결책은 특히 국가의 젊은 구직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위험을 동반한다.

한국은행이 4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 근로자가 계속 일할 경우 청년 일자리 0.4개에서 1.5개가 사라진다고 한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현상이 이미 경제 둔화로 인해 기업의 신규 채용 능력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악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2016년 정년 연장 경험과 일본의 사례를 고려할 때, 법적 정년 연장보다는 은퇴 후 재취업을 촉진하는 것이 고령 근로자의 지속적인 고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고 말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