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회장, 저성장 한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 제안 / Chairman of SK Proposes Initiatives to Stimulate Korea's Sluggish Economy


SK Group Chairman Chey Tae-won proposed new strategies to address Korea’s sluggish economic growth, focusing on an economic alliance with Japan and increased invest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During a joint interview with YouTube channels, Chey, who is also the chairman of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upcoming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CEO Summit. He described it as a crucial platform for discussing solutions amid rising protectionism, with the KCCI hosting the event from Tuesday to Friday.

Chey noted the challenges in restoring free trade under the existing WTO framework and criticized the outdated export-driven growth model that has been in place since the 1960s due to increasing tariff barriers.

He advocated for an economic partnership with Japan to better position Korea against trading blocs and protectionist measures. “By cooperating with Japan, we can create a market worth $6 trillion and achieve economies of scale,” Chey stated, pointing out that this collaboration could establish the world’s fourth-largest economic bloc.

Since introducing this concept earlier this year, Chey has stressed the need for Korea to form interconnected economic partnerships with countries that share similar economic systems, proposing a single-market model akin to that of the European Union.

The chairman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ongoing investment in the AI sector, which he identified as a source of new opportunities for Korea. He compared the current competition for global AI domin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o the Cold War arms race.

Chey warned that failing to keep pace in AI investments could pose significant risks to Korea and insisted that investments should continue despite geopolitical uncertainties.

Additionally, he introduced the idea of a “mega sandbox” to revitalize regions experiencing population decline and called for attracting foreign talent through a proposed ‘green card’ system.

“Establishing a mega sandbox in regional areas as an AI experimental site could have significant ripple effects,” he said, emphasiz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allowing foreign talent to contribute to the Korean economy.

Regarding the APEC summit, Chey mentioned the participation of leaders, including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indicating that the discussions would serve as an indicator of the future of U.S.-China relations.

He concluded by noting that the APEC CEO Summit, which is expected to host over 1,700 participants, would provide a vital platform for addressing global business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rising protectionism and would feature numerous influential business leaders, including Nvidia CEO Jensen Huang.




SK그룹 회장 최태원은 일요일 한국의 저성장 경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안을 제안하며 일본과의 경제 동맹 및 인공지능 투자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최 회장은 한국상업회의소(KCCI)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다가오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APEC) CEO 정상회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 회의가 보호무역 시대에 해결책을 모색하는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CCI는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이 이벤트를 주최합니다.

최 회장은 유튜브 채널과의 공동 인터뷰에서 “WTO 체제 하의 자유무역을 복원하는 것이 과거처럼 쉽지 않으며, 1960년대부터 이어진 수출 주도의 성장 모델이 이제는 관세 장벽 때문에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무역 블록과 보호무역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과의 경제 동맹을 결성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일본과 협력함으로써 6조 달러 규모의 시장을 창출하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경제 블록을 형성하여 외부 조건에 더 잘 대응할 수 있게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올해 초 이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한 이후로 한국이 유사한 경제 구조를 가진 국가들과 상호 연결된 경제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일본을 유럽연합과 유사한 단일 시장 모델을 추구해야 할 주요 파트너로 언급했습니다.

회장은 또한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촉구하며, 이 분야가 한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글로벌 우위를 위한 경쟁은 냉전 시기의 미소 군비 경쟁을 연상시킨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두 나라는 AI 투자 경쟁을 느리게 하지 않을 것이며, AI 분야에서 뒤처지는 것은 중대한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리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필요한 투자는 계속되어야 합니다.”

최 회장은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비수도권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메가 샌드박스’ 개념을 제안하며, 해외 인재 유치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지역에 메가 샌드박스를 설치하여 AI 실험 사이트 및 시험 장소로 활용하면 상당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외국 인재가 일정 기간 한국에 머무르며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그린 카드’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번 주 말 APEC 정상 회의에 대해 최 회장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을 비롯한 APEC 지도자들이 모여 광범위한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이 회의는 향후 몇 년간 미중 문제의 발전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1,700명 이상의 참가자가 참석하는 APEC CEO 정상회의가 보호무역 시대의 해결책을 찾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며, “Nvidia CEO인 젠슨 황을 포함한 많은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들이 참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