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힌 프로젝트, 용량 축소 없이 진행 중 / Shaheen Project Progresses Without Reduction in Capacity


Construction of Korea’s largest petrochemical facility is progressing rapidly near S-Oil’s plant in Ulsan, with the project now over 85 percent complete.

Despite a government recommendation for the struggling petrochemical industry to reduce output at naphtha cracking centers (NCCs), the Saudi Aramco-owned refiner continues with the over $7 billion Shaheen project as planned.

A supervisor from Hyundai E&C indicated that efforts are being mad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which began in March 2023. Hyundai E&C is leading a consortium that includes Hyundai Engineering, Lotte E&C, and DL E&C.

Approximately 11,000 workers from Ulsan and surrounding areas are currently engaged at the site, with the project having progressed from 40 percent completion a year ago.

There had been speculation regarding a potential reduction in the new facility’s capacity, in line with domestic petrochemical firms’ agreement to lower combined output at NCCs by up to 25 percent, or 3.7 million tons. This agreement was reached following a government request for self-rescue plans amid a downturn in the industry attributed to oversupply from China and the Middle East.

The government had noted that S-Oil’s new facility could contribute to domestic NCC production reaching 14.7 million tons upon completion.

While S-Oil has refrained from commenting on government policies, the company has emphasized that its new facility will be the most efficient petrochemical plant in Korea. Utilizing a thermal crude-to-chemicals (TC2C) method developed with Aramco technology, S-Oil aims for significantly higher feedstock yields compared to conventional processes, while also reducing carbon intensity.

Once mechanical completion is achieved in June next year, S-Oil plans to commence test operations for at least six months. Successful tests will enable the plant to produce 1.8 million tons of ethylene, 770,000 tons of propylene, 200,000 tons of butadiene, and 280,000 tons of benzene annually.

S-Oil intends to supply these chemicals to local downstream businesses via a dedicated pipeline. Long-term supply agreements with petrochemical firms at the O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re already in progress,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industry’s value chain.

An S-Oil official stated that the new facility will help downstream businesses reduce transportation costs and create a competitive petrochemical cluster through timely and stable feedstock supply.




< p >울산 — 화요일, 울산의 S-Oil 공장 인근에서 한국 최대의 석유화학 시설 건설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p > < p >석유화학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나프타 분해 센터(NCC)에서 생산량을 줄이라는 권고에도 불구하고, 사우디 아람코 소속의 정제업체는 70억 달러 규모의 샤힌 프로젝트를 계획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p > < p >화요일 기준으로 프로젝트는 85퍼센트 이상 완료되었습니다.< /p > < p >현대건설의 한 감독관은 기자들에게 2023년 3월에 시작된 작업을 마무리하기 위한 막바지 노력이 진행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현대건설은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 DL건설을 포함하는 건설사 컨소시엄을 이끌고 있습니다.< /p > < p >“불과 1년 전만 하더라도 프로젝트는 약 40퍼센트 완료된 상태였습니다”라고 감독관은 건설 현장을 내려다보는 전망대에서 말했습니다. “울산과 인근 도시에서 약 11,000명의 작업자가 매일 현장에 출근하고 있습니다.”< /p > < p >S-Oil 공장 인근 샤힌 프로젝트 현장에서 건설이 진행 중입니다.< /p > < p >다른 석유화학 기업들이 NCC의 통합 생산량을 최대 25퍼센트, 혹은 370만 톤으로 줄이기 위한 공동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S-Oil이 새로운 시설의 용량을 줄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p > < p >이들 기업은 정부가 규제 완화와 재정 지원,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대신 자구 노력을 제출할 것을 촉구한 지난 8월 제안된 용량 축소에 동의했습니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중국과 중동에서의 공급 과잉으로 인한 산업의 장기적인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p > < p >당시 정부는 S-Oil의 새로운 시설에서 나올 잠재적 생산량을 고려하여 NCC의 국내 생산량이 1,470만 톤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p > < p >S-Oil은 정부 정책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새로운 시설이 한국에서 가장 효율적인 석유화학 공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p > < p >S-Oil은 아람코 기술로 개발된 열 수송 원유에서 화학물질로의 전환(TC2C)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 공정보다 3배에서 4배 높은 원료 수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TC2C 방법은 석유화학 원료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탄소 강도를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p > < p >“새로운 시설은 과정을 단순화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탄소 배출을 줄여 정제와 석유화학 운영의 수직 통합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라고 S-Oil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p > < p >내년 6월 새로운 시설의 기계적 완공 이후 S-Oil은 최소 6개월 이상 이어질 테스트 운영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테스트에 성공하면, 이 공장은 매년 180만 톤의 에틸렌, 77만 톤의 프로필렌, 20만 톤의 부타디엔, 28만 톤의 벤젠을 생산할 것입니다.< /p > < p >S-Oil은 전용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러한 화학물질을 지역 하류 기업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p > < p >회사는 울산 온산 국가 산업 단지의 석유화학 기업들과의 장기 공급 계약이 이미 진행 중이며, 이것이 국내 산업 가치 사슬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p > < p >“하류 기업들은 적시 안정적인 원료 공급 덕분에 가치 사슬에서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경쟁력 있는 석유화학 클러스터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라고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p >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