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 S26 모델에 자체 개발한 엑시노스 2600 탑재 예정 / Samsung to Equip Galaxy S26 Models with In-House Exynos 2600 Processor


Samsung Electronics is set to utilize its in-house application processor (AP) Exynos 2600 for several variants of the upcoming Galaxy S26 family, indicating renewed confidence in its foundry capabilities.

Industry sources reported on Monday that Samsung has decided to implement the Exynos 2600 AP for the S26 series in various markets, marking a return to its two-chip strategy.

Officials from Samsung Electronics declined to comment on this development.

In recent years, Samsung has paired its Exynos chips with Qualcomm’s Snapdragon processors for the Galaxy S series, with the exception of the S23 and S25 series. The S23 series exclusively used the Snapdragon 8 Gen 2 after the cancellation of mass production for the Exynos 2300, while the S25 series relied solely on the Snapdragon 8 Elite due to low yield rates of the Exynos 2500.

The exclusion of the Exynos 2500 was a significant setback for Samsung’s foundry and chip design divisions, which have faced accumulated losses that have impacted the overall profitability of the company’s semiconductor business.

During a second-quarter earnings call in July, the company stated its intention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Exynos lineup, with plans to have it featured in flagship smartphones by 2026.

While it is unclear how many models in the Galaxy S26 lineup will incorporate the Exynos 2600, historical trends suggest that the chip is likely to be used in devices sold in Korea and Europe.

The reintroduction of the Exynos chip to the Galaxy S series is attributed to improvements in chipset performance and foundry yield rates. An unidentified source cited by Yonhap News Agency noted that the chipset’s neural processing unit outperformed comparable Apple processors by six times.

Uncertainty remains regarding the adoption of the Exynos 2600 for the flagship Galaxy S26 Ultra, as Samsung has consistently relied on Qualcomm chips for the top-tier model in the S23 to S25 series.

The Exynos 2600 is anticipated to be manufactured using Samsung’s 2-nanometer process, which is expected to enhance energy efficiency. Reports indicate that the Exynos 2600 has achieved approximately 85 percent of its targeted performance level.




삼성전자가 자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2600을 통해 다수의 갤럭시 S26 시리즈 변형 모델에 전력을 공급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사 파운드리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된다.

산업 소식통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다수의 시장에서 오는 S26 시리즈에 엑시노스 2600 AP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며 두 칩 전략을 다시 활성화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언급을 하지 않았다.

최근 몇 년간 삼성은 갤럭시 S 시리즈에 엑시노스 칩과 퀄컴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를 함께 사용해왔으나, S23 및 S25 시리즈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경향이 지속되었다. S23 시리즈는 엑시노스 2300의 대량 생산이 취소된 이후 스냅드래곤 8 Gen 2만을 채택했고, S25 시리즈는 엑시노스 2500의 낮은 수율로 인해 스냅드래곤 8 Elite에만 의존했다.

엑시노스 2500의 제외는 삼성의 파운드리 및 칩 설계 부서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으며, 최근 몇 달간의 누적 손실로 인해 회사 반도체 사업의 전체적인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다.

삼성전자는 7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엑시노스 라인의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며, 2026년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채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갤럭시 S26 라인업의 어느 부분에서 엑시노스 2600이 사용될지는 불확실하나, 과거 트렌드에 따르면 이 칩은 한국과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델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엑시노스 칩의 갤럭시 S 시리즈 복귀는 칩셋 성능과 파운드리 수율의 개선 덕분으로 해석된다. unidentified source를 인용한 연합뉴스는 이 칩셋의 신경 처리 장치가 애플의 유사 프로세서를 6배 초과하는 성능을 발휘했다고 보도했다.

삼성전자가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S26 울트라에 엑시노스 2600을 채택할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다. 회사는 갤럭시 S23부터 S25까지 각 시리즈의 최상급 모델에 퀄컴 칩만을 의존해 왔다.

엑시노스 2600은 삼성의 2나노 공정으로 생산될 것으로 예상돼 에너지 효율이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보도에 따르면, 엑시노스 2600은 목표 성능 수준의 약 85%를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