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08분의 세계 최장 통근 시간으로 건강 위험에 직면하다 / Koreans Face Health Risks Due to Average Commute Time of 108 Minutes, the Longest in the World


Korean workers now face the longest commute time in the world, averaging 108 minutes a day — a burden that experts warn has become a serious threat to public health, far beyond mere inconvenience.

A recent study published in th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by researchers at the Autonomous University of Barcelona and McGill University found that Korea ranked first among 43 surveyed countries in commute duration. The global average commute was 68 minutes, with Morocco having the shortest at 48 minutes — less than half of Korea’s figure.

Long commutes have been linked to obesity, hypertension, and higher mortality rates. A family medicine professor at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noted that extended commuting hours reduce time for physical activity and socializing, often leading to late dinners and poor sleep. These factors can contribute to weight gain, reduced exercise capacity, and hypertension.

International research supports these findings. A study from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commuting distances over 24 kilometer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develop obesity and a lack of exercise. Additionally, a long-term study from Sweden’s Umea University revealed that women with lengthy commutes had a 54 percent higher mortality rate compared to those with shorter travel times.

Extended commuting erodes essential health routines such as sleep, exercise, and leisure activities. The professor warned that stress caused by long commutes can elevate blood sugar,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levels, increas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even mortality. Individuals with prolonged commutes are also reported to be more prone to depression, anxiety, social isolation, irritability, cognitive decline, poor sleep quality,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Experts noted that many workers cannot realistically shorten their commute due to rising housing costs and job locations, making health management during transit increasingly important. A rehabilitation medicine professor at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advised commuters to adopt proper posture while sitting on public transportation to alleviate stress on the spine and joints. He suggested avoiding crossing legs, maintaining a straight neck and back, and regularly stretching knees and ankles for those who stand during their commute.

Additionally, he recommended that individuals using smartphones or reading should turn their necks left and right every 20 minutes to prevent stiffness.




한국 근로자들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긴 통근 시간을 경험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108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통근 시간이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공공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와 맥길대학교의 연구자들이 발표한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국은 43개국을 조사한 결과 통근 시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평균 통근 시간은 68분이며, 모로코는 48분으로 한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

장시간 통근은 비만, 고혈압,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

중앙대학교병원의 가정의학 교수 조수현은 긴 통근 시간이 신체 활동과 사회적 교류의 시간을 줄이며, late dinner를 초래하고 수면의 질을 저하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요인은 체중 증가, 운동 능력 감소 및 고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 연구도 유사한 위험을 지적하고 있다.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24킬로미터 이상의 통근 거리를 가진 사람들은 비만 및 운동 부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다.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스웨덴의 우메아 대학교가 14년 동안 추적한 결과, 긴 통근을 하는 여성들의 사망률이 짧은 통근을 가진 여성들보다 54%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확장된 통근은 수면, 운동 및 여가 활동과 같은 필수 건강 루틴을 침식한다. 조 교수는 "장시간 통근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혈당, 혈압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켜 심혈관 질환 및 심지어 사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긴 통근 시간을 가진 사람들은 우울증, 불안, 사회적 고립, 과민성, 인지 감소, 수면의 질 저하 및 근골격계 질환에 더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많은 근로자들이 주택 비용과 직장 위치 때문에 현실적으로 통근 시간을 단축할 수 없다고 말하며, 이동 중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앙대학교병원의 재활의학 교수 이상윤은 “대중교통에서 앉을 때는 다리를 꼬지 말고, 엉덩이를 등받이에 가깝게 두고 목, 등, 어깨를 곧게 펴서 척추와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통근 중 서 있는 사람은 무릎과 발목을 규칙적으로 스트레칭하고, 발 뒤꿈치를 반복해서 들어 올리고 내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책을 읽을 때는 20분마다 목을 좌우로 돌려 경직을 방지해야 한다”고 하였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