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oul has continued its efforts to resolve the deadlock in tariff negotiations with Washington during the extended Chuseok holiday.
The government aims to finalize details regarding the tariff discussions ahead of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Economic Leaders' Meeting scheduled for later this month in Gy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Senior officials were dispatched to the United States, and an emergency meeting was held to discuss countermeasures.
Industry Minister Kim Jung-kwan, who returned Monday from a trip to meet U.S. Commerce Secretary Howard Lutnick in New York, stated that Washington understands Seoul's concerns about potential destabilization of Korea's foreign exchange market if it accepts U.S. President Donald Trump's request for a $350 billion investment fund in cash.
Kim expressed optimism about further meetings with the U.S. before the APEC summit, indicating that he expects to meet with Lutnick again soon. "Both sides have narrowed the gap concerning the foreign exchange market," he told reporter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ince the U.S. agreed in July to reduce its proposed blanket duties on Korean products from 25 percent to 15 percent in exchange for Korea's $350 billion investment in American industries, the two countries have yet to finalize a trade agreement, with remaining differences over the investment structure.
While Washington has insisted on a cash investment and has not responded to Seoul's proposal to structure the fund using loans and guarantees, the Korean government has offered an unlimited currency swap arrangement with the U.S. to mitigate impacts o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Kim mentioned that he discussed a currency swap arrangement with Lutnick but was cautious about claiming any progress on the topic. He also denied that Trump's comments demanding Korea's payment be made "up front" were part of the discussions.
Prior to Kim's arrival, the presidential office convened an emergency meeting on U.S. tariffs to share the outcomes of his meeting with Lutnick, which took place late Saturday (local time). The Presidential Office stated, "The government will continue to engage in follow-up negotiations with the U.S. on tariffs, prioritizing the national interest."
On Saturday (local time), Korea's new ambassador to the U.S., Kang Kyung-wha, arrived in the U.S. She addressed the ongoing talks over the $350 billion investment fund as a key issue for bilateral relations and pledged to mobilize "all embassy resources." Before her departure, Kang met with Hyundai Motor Group Executive Chair Chung Euisun to discuss the 25 percent tariff imposed on Korean car imports to the U.S.
Kang stated, "The industry minister and trade minister are directly involved in efforts to secure a deal, but as the ambassador on the ground, I feel it's important to provide them with every possible support."
On Tuesday, four lawmakers from the ruling Democratic Party of Korea will visit the U.S. to explain Korea's position on the $350 billion investment fund to U.S. businesspeople. "We hope our upcoming visit will help facilitate the tariff negotiations," said Rep. Lee Un-ju.
However, uncertainties remain regarding Korea's ability to achieve its goals, as Trump is expected to visit Korea for only one day before the APEC summit and depart ahead of the October 31 event. Speculation persists that the U.S. government shortened his trip due to the slow progress in tariff talks with Korea.
서울은 장기적인 축제 휴가 동안 워싱턴과의 관세 협상에서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왔다.
정부는 이달 말 경주에서 예정된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경제 정상 회의에 앞서, 관세 협상의 세부 사항을 마무리하기 위해 고위 관계자들을 미국에 파견하고 긴급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중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월요일 뉴욕에서 미국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과의 비공식 회담을 위해 돌아오면서, 워싱턴이 한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제안된 3,500억 달러 투자 기금을 현금으로 제공할 경우 외환 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APEC 정상 회의 전에 미국과 추가 회의를 갖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며, 조만간 루트닉과 다시 만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에게 "양측이 외환 시장에 대한 격차를 좁혔다"고 전했다.
미국이 7월 한국 제품에 대한 제안된 전면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한 이후, 양국은 공식 무역 협정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 구조에 대한 이견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워싱턴은 현금 투자를 고수하며 서울의 대출 및 보증을 사용한 투자 기금 구조 제안에 대해서는 침묵해 왔다. 한국 정부는 외환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미국과 무제한 통화 스와프 협정을 제안했다.
김 장관은 루트닉과 "통화 스와프 협정에 대해 논의했다"면서도 이에 대한 "진전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데 조심스러워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의 지불 요구를 "사전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한 발언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김 장관의 도착 하루 전, 청와대는 그의 루트닉과의 회의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미국 관세에 관한 긴급 회의를 열었다.
청와대는 성명에서 "정부는 국가 이익을 우선시하며 미국과의 관세 후속 협상에 계속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요일(현지 시간) 한국의 신임 미국 대사 강경화가 워싱턴 근처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강 대사는 3,500억 달러 투자 기금에 대한 ongoing 석탄 사업이 양국 관계의 핵심 이슈라고 언급하며 "모든 대사관 자원을 mobilize 하겠다"고 약속했다. 출국 전 강 대사는 현대차그룹 회장 정의선과 만나 미국으로의 한국 자동차 수입에 부과된 25% 관세 문제를 논의했다.
강 대사는 "산업 장관과 무역 장관이 거래 성사를 위해 직접 관여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대사로서 그들에게 가능한 모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화요일에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 4명이 미국을 방문하여 미국 기업인들에게 3,500억 달러 투자 기금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 의원은 "우리의 방문이 관세 협상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APEC 정상 회의 전 하루만 한국을 방문하고 10월 31일 이전에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정부가 한국과의 관세 협상 진행이 더디자 그의 일정을 단축시킨 것이라는 추측이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