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 산업, 투자 및 창의성 위기 속에서 회생 방안 모색 / Korean Film Industry Pursues Support in Response to Investment and Creativity Crisis


Korea’s burgeoning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facing a serious financial crisis, particularly within the local film sector, which heavily relies on successful franchises such as “The Roundup” series. Many industry experts believe that the structural challenges cannot be resolved by government emergency funding alone.

During a cabinet meeting on Thursday,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current state of Korea’s cultural industry. He emphasized its importance as a tool for raising national brand awareness, while also acknowledging the significant challenges it faces.

“K-culture is not merely a cultural phenomenon. It is a core engine of our economy and a future source of growth,” he stated at the presidential office in Seoul. He described the production scene as being in a state of crisis, urging for emergency government funds to catalyze recovery, stating that financial circulation is essential.

The culture minister pointed out that the domestic film industry is the most desperate sector, noting a drastic decline in the number of commercial Korean films, which has fallen from around 60 annually to just 20 in 2025.

Even a major production company, which has invested in and produced over 400 films, released only one homegrown film this year. The minister attributed the industry's struggles to a vicious cycle exacerbated by global streaming platforms, which hinder theatrical success and lead to reduced investment and production numbers.

In an effort to assist local production companies, the culture ministry plans to reduce investment risks. This includes increasing the loss provision rate from 15 percent to 20 percent and adjusting the profit-sharing structure to expand the private sector’s share of excess profits from 30 percent to 40 percent.

The minister also called for regulatory relaxations for broadcasters and measures to combat illegal piracy. Current box office statistics underscore the urgency for government intervention, as no films have attracted 10 million viewers this year, a benchmark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success.

The absence of a new title in the “The Roundup” series, which previously dominated the box office, illustrates the industry’s reliance on a single franchise. The highest-grossing Korean film this year, “My Daughter is a Zombie,” has garnered only 5.62 million admissions, with only two films surpassing the 3 million mark.

This over-reliance on a single franchise has diminished the vitality of the local film scene. While foreign animated features have seen success, homegrown blockbusters aiming for the 10 million viewer milestone have struggled. A film industry official highlighted the necessity for diverse content to attract audiences, stating that beyond government support, the industry must also innovate and diversify its offerings.




한국의 문화 콘텐츠 산업이 심각한 재정 위기를 겪고 있으며, 현재 "범죄도시" 시리즈와 같은 단일 성공 공식을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 영화 산업은 정부의 긴급 자금 지원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인 최희영은 목요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한국의 문화 산업이 국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았지만,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했다.

최 차관은 서울 대통령실에서 "K-문화는 단순한 문화 현상이 아니다. 이는 우리 경제의 핵심 엔진이자 미래 성장의 원천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내가 방문한 K-문화 제작 현장은 뚜렷한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엄청난 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회복을 위한 촉매 역할을 할 긴급 정부 자금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화부 장관은 국내 영화 산업이 가장 절박한 분야로 지목하며, 연간 약 60편에 달했던 상업 한국 영화의 수가 2025년까지 그 3분의 1로 급감했다고 지적했다.

CJ ENM과 같은 400편 이상의 영화를 제작한 회사도 올해 투자한 국내 영화를 단 1편만 극장에 배급했다.

최 차관은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인 넷플릭스가 극장 성공을 어렵게 만들어 투자 감소와 제작 수의 저하, 생태계 전반의 불안정을 초래하는 악순환을 경고했다.

문화부는 지역 제작사들이 돌파구를 찾도록 투자 위험을 줄일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부는 현재 15%인 손실 위험 대비금을 20%로 늘리고, 정부의 이익 배당 몫을 줄이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민간 부문의 초과 이익 몫은 30%에서 40%로 확대된다.

또한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방송사의 규제를 완화하고 저작권 보호 콘텐츠 차단을 촉구했다.

현재 박스오피스 수치는 정부가 신속히 행동해야 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올해 한국 산업에서는 1천만 관객을 끌어모은 영화가 없다. 단일 영화의 1천만 관객 수치는 역사적으로 성공의 기준으로 간주된다.

지난해까지 영화 박스오피스를 지배했던 "범죄도시" 시리즈의 새로운 타이틀 부재는 현재 영화 산업이 단일 히트 프랜차이즈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강조하고 있다.

"범죄도시"가 2022년 1,260만 관객을 유치한 이후 이 시리즈는 매년 1천만 관객을 넘기고 있으며, "범죄도시: 무죄"는 1,060만 관객, "범죄도시: 범죄의 재구성"은 1,150만 관객을 기록했다.

올해 가장 많은 관객을 기록한 한국 영화는 562만 관객을 동원한 "내 딸은 좀비"이며, 그 뒤를 이어 "야당: 밀고자"가 337만 관객을 기록했다. 현재로서는 이 두 편만이 300만 관객을 넘어섰다.

단일 프랜차이즈에 대한 의존은 지역 영화계의 활력을 약화시켰다. 일본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가 올해 놀라운 성공을 거둔 반면, 1천만 관객을 목표로 한 국내 블록버스터 "전지적 독자 시점"은 관객을 끌어모으지 못했다.

한 한국 영화 업계 관계자는 영화 팬을 끌어모으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재정적 재활 조치 외에도 산업 자체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한다"며 익명을 요구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