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족들이 해외 여행에도 반려동물을 동반하는 이유 / Korean Families Increasingly Traveling with Pets on Overseas Vacations


During the Chuseok holiday, a growing number of pet owners in South Korea are opting to include their pets in travel plans rather than leaving them behind. One such individual, who planned a fall camping trip in Yangpyeong, emphasized that their dachshund, Malrang, is considered family and should accompany them.

Malrang, a well-traveled long-haired cream dachshund, has visited 19 countries, and pet-friendly accommodations and activities have become integral to travel for many owners. This year, the pet owner booked a campsite that allows pets to roam freel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pproximately 28.6 percent of Korean households now have pets, leading to a trend where families prefer to travel with their pets rather than using pet hotels or leaving them with neighbors.

Different pet owners have varying approaches to pet-inclusive travel. For instance, one traveler purchased a discounted travel ticket for Jeju, which provides access to pet-friendly attractions, highlighting the convenience and affordability of such options.

In response to the rising demand, travel agencies are developing “petcation” packages that include amenities for pets, with some offerings already fully booked. Public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are also promoting pet-friendly tourism, exemplified by an upcoming dog marathon in Daejeon that aims to create memorable experiences for pet owners.

Local initiatives, such as the designation of Taean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s a "pet-friendly tourism city," are receiving significant funding to enhance pet-related tourism programs. The county has launched various pet-themed events, including a program that rewards visitors for completing pet-related activities.

Experts suggest that the trend of traveling with pets reflects shifting family dynamics and changing perceptions about pets, which are now regarded as family members rather than mere property. This evolution in pet ownership is influencing travel preferences and the broader pet industry.




권씨(35세)는 추석 연휴 동안 남편과 함께 양평에서 가을 캠핑을 계획하면서 6살된 다치훈 말랑을 두고 가는 것은 선택지가 아니었다. 권씨는 “그는 가족이므로 당연히 함께 가야 한다”고 말했다.

말랑은 긴 털의 크림색 다치훈으로, 이미 프랑스, 몬테네그로, 터키를 포함해 19개국을 여행한 경험이 있는 베테랑 “프로 여행자”이다. 권씨에게 애완동물 친화적인 식당, 카페, 숙소를 찾아가는 것은 관광만큼이나 중요한 여행의 일부분이다. 이번 추석에는 말랑이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캠프장을 예약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한국 가구의 28.6%가 반려동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4가구 중 1가구가 애완동물과 함께 사는 것을 의미한다. 예전처럼 이웃이나 애완동물 호텔에 맡기는 대신, 더 많은 사람들이 애완동물과 함께 여행하는 시간을 보내고 돈을 쓰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

애완동물과 함께하는 여행 방식은 다양하다. 올해 초 개를 입양한 이씨(28)는 애완동물 친화적인 관광지와 식당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주 여행 티켓을 구매했다. 이씨는 “한 곳씩 검색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가격도 적당하다”고 말했다.

여행사들은 “펫케이션”이라고 불리는 여행 패키지를 출시하며 수요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이 패키지에는 애완동물 침대, 편의시설, 심지어 사진 촬영 서비스까지 포함된다. 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낭, 베트남으로의 5일 3박 기간의 애완동물 친화적인 여행은 이미 예약이 모두 끝났고 대기 명단이 가득 차 있다.

공공기관과 지방정부도 애완동물 친화적인 관광을 지원하고 있다. 10월 11일 대전시는 애완동물 행사 전문 업체인 1986프로덕션이 주최하고 대전 관광공사가 후원하는 개 마라톤인 “당당 런”을 개최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개 간식과 행사 상품을 받을 수 있어 애완동물과 함께 추억을 만들고자 하는 이들에게 인기 있는 선택이 되고 있다.

개를 데리고 행사에 참석할 계획인 안씨(37)는 “긴 연휴 동안 그들과 질 좋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 이벤트를 보고 바로 가입했다”고 전하며 위생 제품, 간식, 그들이 좋아하는 담요를 가져갈 계획이다.

충남 태안은 2023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애완동물 친화 관광 도시”로 지정되어 4년간 2억 5천만 원의 국가 지원을 받고 있다. 이 지역은 10월을 “반려견과 함께 태안 가는 달”로 지정하고 다양한 애완동물 테마 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 “미션 투어”는 일정 이상을 체류하고 애완동물 관련 활동을 완료한 팀에게 최대 10만 원의 환급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일곱 살 된 개를 기르는 대학원생 김씨(29)는 “이런 프로그램 덕분에 애완동물과의 여행 계획 시 특정 목적지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애완동물 여행의 증가는 가족 구조와 휴일 전통의 광범위한 변화를 반영한다고 말한다. 동명대학교 반려동물산업디자인학과의 김종기 교수는 “애완동물에 대한 소유의 개념이 바뀌었고, 이제는 가족의 일원으로 여겨진다”며 “애완동물과 함께하는 휴일 보내기가 중심이 되었으며, 반려동물 산업은 인간과 동물 모두의 삶의 질 향상 및 공유 문화 경험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