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금요일 영업시간 단축 계획에 대한 고객 우려 증대 / Banks Reduce Operating Hours on Fridays, Raising Customer Concerns


Concerns are growing that consumers may face increased inconvenience after the workers' union and management in the financial sector reached an agreement to reduce Friday working hours by one hour.

According to industry officials, the Korean Financial Industry Union (KFIU), representing workers at major commercial and policy banks, and the Korea Financial Industry Employers Association reached a tentative agreement that includes a one-hour reduction in Friday working hours and a 3.1-percent wage increase.

The deal was reached about a week after the KFIU initiated a full-scale strike on September 26, calling for the introduction of a 4.5-day workweek. To implement this, the union and management agreed to establish a task force for ongoing discussions.

The employers’ association emphasized that the one-hour early leave on Fridays is intended to be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each institution’s circumstances while maintaining current business hours,” clarifying that the agreement does not automatically imply reduced operating hours for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Despite this, many in the sector believe that reducing working hours will inevitably require cutting service hours. An official at one of the major banks noted that to allow employees to leave earlier, the closing time for counters would need to be adjusted.

Currently, most banks in Korea operate from 9 a.m. to 4 p.m. With complaints already raised about existing hours, if the agreement leads to an earlier closing time on Fridays, public criticism is expected to increase.

Numerous critical comments have been posted on the anonymous workplace community Blind. One user remarked that financial labor and management have overlooked the perspective of customers facing difficulties, while another stated that shortening working hours without measures to protect consumers is inappropriate.

Particular concern has been expressed regarding the potential challenges for vulnerable groups, including the elderly and small business owners, who still require in-person banking services.




금융 부문에서 노동조합과 경영진이 금요일 근무 시간을 1시간 단축하기로 합의한 이후에 소비자들이 겪을 불편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주요 상업은행 및 정책은행의 근로자들을 대표하는 한국금융산업노동조합(KFIU)과 한국금융산업사용자협회는 지난 목요일 금요일 근무 시간을 1시간 단축하고 3.1% 임금 인상을 포함하는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는 KFIU가 9월 26일 4.5일 근무제 도입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에 돌입한 지 약 일주일 만에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노조와 경영진은 앞으로 계속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사용자협회는 금요일 1시간 조기 퇴근이 “각 기관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돼 현재의 영업시간을 유지하는 것”이라며 이 합의가 은행 및 기타 금융기관의 운영 시간이 자동으로 단축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근무 시간 단축이 서비스 시간 단축을 불가피하게 요구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한 주요 은행의 관계자는 “근무자들이 일찍 퇴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창구 마감 시간이 단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의 대부분의 은행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되며, 현재의 마감 시간에 대해 상당수의 불만이 이미 제기됐다. 만약 최근 합의가 금요일의 마감 시간을 오후 4시에서 오후 3시로 조정하게 된다면, 대중의 비판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익명의 직장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는 이미 많은 비판적인 댓글이 올라와 있다.

한 사용자는 “금융 노동자와 경영진이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객의 관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썼고, 다른 사용자는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 없이 근무 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노인과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이 여전히 대면 은행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