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y Koreans view the 10-day Chuseok holiday as an opportunity to rest and recharge, allowing for guilt-free sleeping in, long naps after meals, and a break from the usual morning rush. This period of relaxation has led many to catch up on lost sleep.
However, in Korean society, there is a stigma surrounding sleep, with individuals who sleep excessively often labeled as lazy. Cultural sayings such as “sleep when you’re dead” highlight a mindset that values less sleep as a marker of success. Statistics reveal this trend, with South Koreans consuming an average of 416 cups of coffee per person last year,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lobal average of 150.
According to the “2024 Korean Sleep Status” report by the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South Koreans are chronically sleep-deprived, averaging only 6 hours and 58 minutes of sleep per night, which is 18 percent less than the OECD average. Additionally, only 75 percent of Koreans report satisfaction with their sleep quality and quantity, and just 7 percent claim to sleep well each night, which is half the global rate.
The primary disruptor of sleep in Korea is psychological stress, identified by 62.5 percent of respondents, overshadowing physical factors such as fatigue and noise. Other significant factors include anxiety, insomnia, and breathing difficulties. The society emphasized that sleep health is closely linked to mental well-being.
Research indicates that sleeping less than seven hours a night triples the risk of catching a cold, while sleeping six hours or less increases the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by 48 percent and stroke by 15 percent. Chronic sleep deprivation can impair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lead to higher medical costs and decreased labor productivity.
Sleep debt, the cumulative effect of consistently getting less sleep than needed, can be repaid by sleeping longer during weekends or holidays, though this is not a permanent solution. Experts suggest that irregular sleep patterns during Chuseok can disrupt circadian rhythms, making it difficult to return to regular work hours.
While oversleeping can also pose risks, the optimal amount of sleep varies among individuals. Signs of sleep deprivation include difficulty staying awake during daily activities and experiencing sleep disorders. Those facing persistent sleep issues are advised to consult a specialist for proper evaluation and treatment.
많은 한국인에게 10일간의 추석 연휴는 진정한 휴식을 취하고 재충전할 수 있는 드문 기회입니다.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 없이 늦잠을 자고, 큰 식사 후에는 긴 낮잠을 즐기며, 평소에 자신을 바쁘게 하는 알람 시계를 껍니다. 이러한 '무제한 수면 패스'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이 휴식을 잃어버린 휴식을 취하는 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수면은 종종 낙인찍힙니다. 많은 수면을 취하는 사람들은 게으르다고 여겨지며, '죽을 때까지 자라' 또는 '걷거나 죽어라'와 같은 표현들은 수면이 적을수록 성공과 연관되는 문화적 사고 방식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태도를 뒷받침하는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해 한국인은 개인당 평균 416컵의 커피를 소비했으며, 이는 전 세계 평균 150컵의 두 배가 넘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깨어 있으려는 노력의 증거입니다.
한국인들이 수면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한국수면연구학회의 '2024 한국 수면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밤에 6시간 58분을 자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18% 적습니다. 한국인의 75%만이 수면의 질과 양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매일 잘 잔다고 응답한 비율은 단 7%로, 전 세계 평균 13%의 절반에 불과합니다. 약 60%는 수면 문제를 겪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가장 큰 수면 방해 요소는 심리적 스트레스이며, 이는 응답자의 62.5%가 언급하였습니다. 피로(49.8%), 대사 문제(29.7%), 소음(19.4%) 또는 통증(19.2%)과 같은 신체적 원인보다 훨씬 더 큰 비율입니다. 다른 주요 요인으로는 불안(35%), 불면증(32%) 및 호흡 곤란(15%)이 있습니다. 이 사회는 이러한 결과가 '수면 건강이 신체적 조건 뿐만 아니라 정신적 웰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하루에 7시간 이하로 자는 것은 감기에 걸릴 위험을 세 배로 증가시키며, 6시간 이하로 자는 것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48%, 뇌졸중을 15% 증가시킵니다. 수면 부족은 힘, 지구력 및 반응 시간을 감소시키고, 기억력과 집중력을 저하시키며, 기분 장애, 비만 및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국가 차원에서는 노동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의료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수면은 최고의 약'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참가자들이 9월 28일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광능숲에서 유한킴벌리 주최로 열린 '숲속 낮잠 대회'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수면 채무는 실제로 존재하며 갚을 수 있습니다. 수면 시간을 줄이는 것은 이자를 붙여서 시간을 빌리는 것과 같습니다. 몸이 필요로 하는 수면보다 항상 적은 수면을 취하면 과학자들이 '수면 채무'라고 부르는 것이 쌓입니다. 예를 들어, 8시간의 수면이 필요하지만 4시간만 잤다면 4시간의 적자를 쌓은 것입니다. 그리고 재정적 부채와 마찬가지로 결국 갚아야 합니다. 그래서 기회가 주어지면 몸은 더 길고 깊게 자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말이나 휴일에 늦잠 자는 것은 실제로 이 채무를 갚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의 일부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완화할 수 있지만, 이는 영구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서울대학교 병원 정신과의 이유진 교수는 "하루에 7시간의 수면이 필요한 사람이 5시간만 잘 경우, 몸은 낮잠을 자거나 주말에 늦잠을 자는 방식으로 보상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른바 '총 수면 법칙'은 과학적 근거를 가질 수 있습니다. 6월,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의 연구진은 저널 Science에 발표한 논문에서 장시간 깨어 있는 것이 회복 수면을 촉진하는 신경학적 메커니즘을 활성화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수면에는 단점도 있습니다. 주중에 10시간의 수면 채무를 쌓았다고 해서 주말에 10시간을 더 잘 필요는 없습니다. 너무 많은 수면도 해로울 수 있습니다. 이 교수는 "수면-각성 주기는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됩니다. 하나는 항상성으로, 깨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면을 요구하는 압력이 강해집니다. 다른 하나는 생체시계로, 규칙적인 시간에 깨게 합니다. 휴일에 늦잠을 자는 것은 항상성적 관점에서 도움이 되지만, 생체리듬을 방해합니다. 추석 동안 불규칙한 시간을 지키면 일이 돌아가기가 훨씬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낮에 2시간 이상 낮잠을 자는 것은 내부 시계를 어지럽힐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주말 내내 휴식하고도 월요일에 피곤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월요일 블루스'로 흔히 알려져 있습니다. 핵심은 간단할 수 있습니다: '휴일에 과도한 보상하는 것보다 매일 충분히 자는 것이 더 좋습니다.'
수면의 '적절한' 양에 대한 보편적인 공식은 없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5시간 자고도 상쾌함을 느끼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10시간 자도 하품을 합니다. 진정한 '좋은 수면'은 양과 질이 모두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휴일이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갈 때, 자신의 수면 건강을 평가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강의 중에 깨어 있을 수 없거나 지하철에서 쉽게 잠이 들거나 알람 없이 일어나는 것이 힘들다면, 수면 부족일 수 있습니다.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하지 불안 증후군, 또는 잠꼬대를 하는 등 증상을 지켜보세요. 수면 문제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면, 진단과 치료를 위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