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number of food poisoning cases reported in South Korea from January to August 2023 has already surpassed the total for the entire year of 2022,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released on Monday. Experts attribute this rise primarily to extreme heat waves.
A total of 7,884 patients were recorded in the first eight months of this year, exceeding last year's overall figure of 7,624, as indicated by documents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mong the pathogens identified, norovirus was responsible for the largest share, accounting for 2,308 cases, or 29.3 percent. Salmonella followed with 825 cases, representing 10.5 percent of the total.
The increase in cases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group catering facilities, including 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Specifically, the number of cas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ached 2,066, reflecting a 39 percent increase from the 1,482 cases reported for all of last year.
Child care centers experienced a dramatic rise in infections, surging more than 17 times to 810 from 47 cases during the same period, while cases in kindergartens more than tripled, increasing to 370 from 112.
Experts have noted that this sharp rise is closely linked to extreme heat conditions. A report from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indicated that a 1°C increase in temperature correlates with an approximate 47 percent rise in salmonella cases.
In light of the increasing risk of food poisoning due to heightened summer temperatur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calls have been made for the government to implement comprehensive food safety measur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정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한국에서 보고된 식중독 환자 수가 2024년 전체 수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극심한 폭염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야당인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에게 제출한 문서에 따르면, 올해 첫 8개월 동안 총 7,884명이 발생하여 지난해 전체 수치인 7,624명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균별로는 노로바이러스가 2,308건으로 29.3%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살모넬라가 825건으로 10.5%를 기록했다.
특히 학교 및 어린이집과 같은 집단급식 시설에서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초중고 학교에서 발생한 사례는 올해 8개월 동안 2,066건으로, 작년 전체 1,482건 대비 39% 증가했다.
어린이집에서는 감염이 47건에서 810건으로 17배 넘게 급증했으며, 유치원에서도 112건에서 370건으로 세 배 이상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급증이 극심한 더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전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보고서에 따르면, 온도가 1도 오르면 살모넬라 사례가 약 4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의원은 "기후 변화로 인한 여름 폭염이 심화됨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정부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식품 안전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