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peacekeeping troops in Lebanon and South Sudan continue to contribute to global peace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combined training and taekwondo lessons for civilians, as the U.N. Command (UNC) commemorates its 75th anniversary this year.
Korea has deployed troops to the Dongmyeong unit as part of the U.N. Interim Forces in Lebanon and the Hanbit unit for the United Nations Mission in South Sudan. These deployments aim to honor the dedication of troops that served under the U.N. flag, according to the Joint Chiefs of Staff (JCS).
The role of the Korean peacekeeping units has gained attention as the U.S.-led multinational command celebrates its 75th anniversary this year.
During a ceremony marking this milestone last month, the Defense Minister stated that Korea's recovery from a war-torn nation was made possible by the UNC and troops from 22 nations, emphasizing a commitment to uphold the spirit of solidarity and support peace efforts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Dongmyeong unit, deployed in 2007, aims to enhance regional stability through continuous surveillance against illegal weapons and armed forces, as well as combined training for peacekeeping operations.
This unit, whose name means "east light" in Korean, has engaged in numerous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such as solar-powered street lights and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along with offering taekwondo and Korean language lessons.
"The peace mission carried out by the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is not merely a military mission. It is a military mission, a civil mission, and a humanitarian mission," stated the mayor of the Lebanese city of Tyre, expressing gratitude for the street light installations.
The Hanbit unit was first deployed to South Sudan in 2013, following the country's independence in 2011.
Over the past 12 years, the unit has conducted humanitarian maintenance work on roads totaling 2,800 kilometers and constructed barrier walls measuring 17 kilometers to mitigate flooding during rainy seasons.
Additionally, the unit has established a farm and a vocational school, providing training in skills such as agriculture, plumbing, and carpentry to assist local residents in settling down and securing food resources. To date, approximately 700 individuals have completed courses offered by the school.
한국의 레바논과 남수단 평화keeping군은 결합 훈련부터 민간인을 위한 태권도 수업까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글로벌 평화를 위해 계속 봉사하고 있으며, 이는 올해 유엔사(UNC) 설립 75주년을 기념한 것입니다.
한국은 레바논의 유엔 임시군 역할을 하는 동명부대와 남수단 유엔 임무를 위한 한빛부대를 배치하였으며, 이 두 부대는 유엔 깃발 아래 파견된 군인들의 헌신을 기리고자 합니다.
한국의 평화keeping 부대는 미국 주도의 다국적 사령부가 올해 설립 75주년을 맞이하면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달 이 중요한 기념행사에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한국이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가에서 UNC와 22개국의 군대 덕분에 회복할 수 있었으며, 국제 사회와 함께 평화를 수호하는 연대의 정신을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습니다.
2007년 처음 배치된 동명부대는 불법 무기 및 무장 세력에 대한 24시간 감시와 평화keeping 작전을 위한 합동 훈련을 실시하여 지역 안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한국어로 "동쪽의 빛"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 부대는 태양광 가로등 및 수질 정화 시설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태권도 및 한국어 수업을 제공하는 등 지역 사회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레바논 타이어市 시장 하산 드부크는 "대한민국 군이 수행하는 평화 임무는 단순한 군사 임무가 아니다. 군사 임무이자 시민 임무, 인도적 임무이다"라고 말하며, 부대의 가로등 설치에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한빛부대는 2011년 남수단 독립 이후 2013년에 처음으로 배치되었습니다.
지난 12년 동안 이 부대는 2,800킬로미터에 걸친 도로의 인도적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우기 동안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 17킬로미터에 이르는 방벽을 건설하였습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이 정착하고 식량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농장과 직업 학교를 설립하여 농업, 배관, 목공 등의 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약 700명이 해당 학교의 과정을 이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