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도시, 영어 간판 대신 한국어 간판 사용 장려를 위한 지원금 지급 / South Korean City Offers Incentives for Shops to Replace English Signs with Korean


In Suwon, the provincial capital located just south of Seoul, city officials are implementing measures to enhance the local streetscape by promoting the use of the Korean alphabet, Hangul, in business signage.

This week, the city announced a subsidy program aimed at encouraging small businesses to replace signboards that are solely in foreign languages with those that include Hangul. Under this initiative, each store can receive up to 2 million won (approximately $1,450) to assist with the costs associated with redesigning and installing new signage. The first round of support will select about 18 businesses, with applications open until October 10.

Eligible businesses are those displaying signboards entirely in English or other foreign languages. They may choose to fully transition to Hangul or incorporate Korean lettering alongside existing foreign text.

City officials emphasize that this initiative extends beyond mere signage. “We want to promote proper advertising practices while also sharing the beauty of Hangul,” stated a Suwon official, highlighting that priority will be given to smaller, family-owned stores.

This program is part of a broader effort in South Korea to preserve cultural identity and linguistic pride, particularly as urban areas become increasingly dominated by international brands and English-language signage. For small shopkeepers in Suwon, this initiative present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their storefronts at minimal expense.




수원, 서울 남쪽의 북적이는 지방 수도에서 시청 관계자들이 한국의 거리를 좀 더 한국적으로 보이게 하고 읽히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시에서는 이번 주에 소규모 사업체들이 외국어로만 작성된 간판을 한글로 교체하도록 장려하는 보조금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매장당 최대 200만 원(약 1,450달러)을 제공하여 재디자인 및 설치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초기 지원을 받는 18개 사업체가 선정될 예정이며, 신청은 10월 10일까지 가능하다.

지원 대상 사업체는 영어 또는 다른 외국어로만 된 간판을 가진 곳이다. 사업체들은 외국어 텍스트와 함께 한글을 추가하거나 완전히 한글로 전환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이 조치가 간판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하며 “우리는 올바른 광고 관행을 촉진하고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작은 가게들이 우선 지원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한국에서 문화 정체성과 언어적 자부심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반영하며, 국제 브랜드와 영어 간판이 도시 상업 지역을 지배하고 있는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 수원의 소규모 상점들에게는 적은 비용으로 진열대를 새롭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