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TL, a Chinese battery manufacturer and technology company, is commercializing sodium-ion batteries, posing a growing threat to Korean battery firms that continue to rely on less price-competitive nickel cobalt manganese (NCM) batteries, experts and industry officials stated on Thursday.
The Chinese company recently introduced its second-generation Naxtra sodium-ion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EVs) and announced plans to commence mass production in December this year.
Sodium-ion batteries provide significant advantages over NCM and lithium iron phosphate (LFP) batteries, particularly in terms of cost and proven safety against fire risks. They also maintain strong energy density even in extremely low temperatures.
This development intensifies pressure on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and SK On, as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odium-ion batteries remains in the early stages.
Chinese battery manufacturer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market share with cheaper LFP batteries in recent years, which have outpaced NCM batteries in the global EV market.
According to data from a market tracker, LFP batteries held a 10.4 percent market share in 2019, but experienced rapid growth, accounting for 34.4 percent of the global EV market in 2021, and projected to rise to 52 percent by the end of 2024.
Experts caution that Korean battery firms may face increased risks of losing global market share following CATL’s plans to mass-produce sodium-ion batteries. One industry expert noted that Korean firms plan to develop their own sodium-ion batteries around 2030, allowing Chinese competitors to capture more market share with their earlier battery launch.
Sodium-ion batteries also charge stably in low temperatures and offer a strong price advantage over NCM batteries, further enabling Chinese firms to enhance their global market presence while Korean firms remain focused on NCM battery sales.
Additional data indicated a sharp decline in the combined global market share of the three mentioned Korean battery firms, which fell to 16.4 percent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down 5.4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year. In 2021, they accounted for over 30 percent of the global EV battery market.
In contrast, Chinese battery firms held a dominant 77.8 percent market share during the same period.
Industry officials emphasized the need for Korean battery firms to revise their strategies to address the escalating threat from Chinese rivals. An auto industry official remarked that despite the recognition of Korean firms for their quality NCM batteries, more carmakers, including Hyundai Motor, are shifting towards adopting Chinese NCM batteries due to their price advantage and acceptable quality.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인 CATL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상용화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여전히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니켈 코발트 망간(NCM) 배터리에 의존하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에게 점점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이 전했다.
이 중국 기업은 최근 전기차(EV)용 2세대 Naxtra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공개했으며, 올해 12월부터 대량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가격과 화재 위험에 대한 입증된 안전성 측면에서 NCM 및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보다 여러 가지 주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극저온에서도 강한 에너지 밀도를 유지한다.
중국 배터리 대기업의 최신 움직임은 LG 에너지 솔루션, 삼성 SDI, SK 온에게 특히 압박을 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 연구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배터리 기업들은 저렴한 LFP 배터리로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LFP 배터리는 글로벌 EV 시장에서 NCM 배터리를 초과하여 그 존재감을 넓히고 있다.
SNE 리서치의 데이터에 따르면, LFP 배터리는 2019년 10.4%의 시장 점유율을 보였으나 이후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 LFP 배터리는 2021년 글로벌 EV 시장에서 34.4%를 차지하였고, 2024년 말에는 5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CATL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 대량 생산 계획에 따라 글로벌 시장 점유율 감소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대림대학교 자동차 기술학과의 김필수 교수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2030년까지 자사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지만, 중국 경쟁업체들은 신제품을 먼저 출시함으로써 한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을 더 빼앗을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저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게다가 가격 면에서도 NCM 배터리보다 강한 우위를 가지고 있어, 한국 기업들이 여전히 NCM 배터리 판매에 집중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중국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조사 업체의 추가 데이터에 따르면, 언급된 세 한국 배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합산 점유율은 16.4%로, 작년 대비 5.4% 포인트 하락했다. 2021년에는 이들이 글로벌 EV 배터리 시장의 30% 이상을 차지했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중국 배터리 기업들은 77.8%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중국 경쟁업체의 증가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전했다.
자동차 산업 관계자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품질 높은 NCM 배터리로 인정받았다 하더라도 이는 더 이상 성립되지 않을 수 있으며, 현대차를 포함한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이 가격 경쟁력과 양호한 품질 덕분에 중국 NCM 배터리로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