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F 2025] '대홍수' 리뷰: 김다미가 해내지 못한 혼란스러운 넷플릭스 판타지 / Review of The Great Flood: Kim Da-mi's Role in a Confusing Netflix Fantasy


Kim Byung-woo's latest film, "The Great Flood," premiered at the 30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has received a mixed response, earning 2 out of 5 stars. The film opens with a dramatic scene of an apartment complex being engulfed by a giant tsunami, transitioning into a science-fiction thriller that challenges straightforward interpretation.

Known for his genre-bending works, Kim's filmography includes titles such as "The Terror Live" and "Omniscient Reader: The Prophecy." "The Great Flood" continues this trend, presenting an action-packed narrative that unfolds as An-na, played by Kim Da-mi, an AI developer and single mother, faces unprecedented rainfall and flooding in Seoul.

As An-na and her six-year-old son, Ja-in, attempt to evacuate their second-floor apartment, a massive wave disrupts their escape plan, plunging them into chaos. The film's opening sequence is marked by tension and impressive digital effects, creating a palpable sense of danger as An-na and Ja-in navigate the flooding.

The introduction of security officer Hee-jo, portrayed by Park Hae-soo, adds complexity to the narrative as he is tasked with ensuring the safety of An-na and her son. However, the story soon expands beyond local threats, revealing a global catastrophe that places humanity at risk, with An-na holding the key to survival.

As the film evolves from a disaster narrative into a convoluted sci-fi mystery, it struggles with coherence, introducing numerous revelations that detract from clarity. Despite Kim Da-mi's efforts to anchor the emotional weight of the story, the film's ambitious scope ultimately leads to confusion.

By the conclusion, "The Great Flood" leaves viewers feeling bewildered rather than awed, as the narrative's complexity overwhelms its initial premise. The film is set to begin streaming on Netflix on December 19.




김병우 감독의 최신 하이컨셉 블록버스터인 "대홍수"는 야망에 잠식되어 있지만 서사적으로는 방향을 잃은 채로, 거대한 쓰나미가 아파트 단지를 삼키는 장면으로 시작하여 간단한 설명을 거부하는 과학소설 스릴러로 변모한다.

김 감독의 필모그래피는 "더 테러 라이브"부터 "전지적 독자 시점: 예언"에 이르기까지 대담한 장르 혼합 실험으로 가득 차 있다. "대홍수"는 지난주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초연된 액션으로 가득 찬 퍼즐 박스로, 유사한 맥락을 이어간다.

김다미는 AI 개발자이자 싱글맘인 안나 역을 맡아, 서울이 전례 없는 폭우와 홍수에 휩싸이고 그녀의 2층 아파트에도 물이 차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안나와 그녀의 6세 아들 재인(권은성)이 더 높은 층으로 대피하려는 찰나, 거대한 물결이 건물에 부딪혀 혼란 속으로 빠진다.

"대홍수"의 첫 장면은 숨이 막힐 듯 긴장감이 넘치며 인상적인 디지털 효과와 뚜렷한 위험감을 자아낸다.

안나와 재인은 끊임없이 서로 분리되며, 각 층이 끊임없는 물결에 잠기면서 숨을 쉴 수 없게 되고, 그들은 수중에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

안나의 고용주에 의해 그녀와 아들을 안전하게 인도하기 위해 파견된 보안관 희조(박해수)의 등장은 전개되는 미스터리를 더욱 부추긴다.

안나는 곧 그녀의 이웃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위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재앙은 글로벌한 것이며 인류 전체가 위험에 처해 있으며, 생존의 열쇠는 명백히 안나의 손에 쥐어져 있다.

김병우 감독은 "대홍수"가 단순한 재난 영화에 그치지 않도록 스크립트를 전환하고 관객을 안나가 인식하는 현실의 실체를 위협하는 복잡한 사이-fi 미스터리로 안내한다.

그러나 스릴을 더하는 대신, 이 순간 영화는 감독의 통제를 벗어나 총체적 일관성을 상실하게 되는 폭풍 속으로 흘러간다. 명확성에 대한 고민 없이 쏟아지는 수많은 폭로들이 혼합되면서 엉망이 된다.

영화의 감정적 중심인 김다미는 사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그녀는 자연재해뿐 아니라 감독의 과도한 시도가 프로젝트를 완전히 침몰시킬 위협에도 맞서야 한다.

구름이 걷히고 결국 물이 잔잔해질 때쯤, "대홍수"는 관객을 경외심보다는 상처입고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대홍수"는 12월 19일부터 넷플릭스에서 스트리밍 된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