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아이돌들이 프로듀서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다 / K-pop Idols Transforming the Industry as Producers


Unlike the Western pop market where artists are generally expected to write and shape their own music, the K-pop industry has traditionally developed as a performance-driven, high-gloss industry built on tightly managed systems of production.

In this context, most idols active in groups typically spend their careers performing songs created by professional composers and refined by agency's artist and repertoire (A&R) teams, with their vocals laid over tracks either purchased externally or crafted by in-house producers who guide the group's sound and style.

However, a new generation is pushing beyond these boundaries.

A growing number of K-pop idols have begun to elevate their roles, stepping up not just as performers but as self-producing artists. These acts not only deliver on stage but also shape their music in the studio, a rarity that is redefining what it means to be an idol in today's K-pop landscape.

The following highlights idols currently shaping their groups from within, excluding globally established acts who have built successful solo careers.

Woozi of K-pop boy band Seventeen is one of the clearest examples. Since the group's 2015 debut, Woozi has been the main producer behind many of Seventeen's hits, helping to shape the group's identity as one of K-pop's most self-sufficient acts. His work includes a range of styles, from beat-heavy dance tracks to emotive ballads, maintaining a distinctive sound for the 13-member group.

3RACHA, the production unit of K-pop group Stray Kids formed by Bang Chan, Changbin, and Han, is another powerful force in this generation. The trio has overseen the creation of nearly every track in Stray Kids' catalogue, with songs like "God's Menu" and "Back Door" showcasing their aggressive beats and unconventional structures, contributing to the group's worldwide appeal.

Soyeon, leader and main producer of girl group i-dle, has similarly influenced her group's trajectory through hands-on production. Known for her bold approach to genre, she has written and produced many of i-dle's hits, including "Latata" and "HWAA," and has ventured into production for other artists, notably helping shape rookie girl group Baby DONT Cry.

Hongjoong of boy band ATEEZ has also become a key figure in his group's identity, credited on nearly every release since their debut. His creative contributions have ensured that ATEEZ's music complements its dynamic stage presence, with tracks like "Say My Name" and "Guerrilla" exemplifying his role in maintaining a cohesive discography.

Huh Yun-jin of girl group Le Sserafim has expanded her role beyond performance since the group's debut in 2022, co-writing songs such as "Impurities" and "Eve, Psyche & The Bluebeard's Wife," contributing a distinctive lyrical voice to the group's catalog.

Among newer acts, BOYNEXTDOOR members Myung Jae-hyun, Taesan, and Woonhak have gained attention for their creative involvement. Since their debut under HYBE Label's KOZ Entertainment in 2023, the trio has contributed to various releases, including their debut single "One and Only" and more recent title songs like "Earth, Wind & Fire."

This shift towards self-production among K-pop idols marks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the industry, highlighting a new wave of artists who are redefining the role of an idol.




서양 팝 시장과 달리,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음악을 작곡하고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 적은 K-pop 산업은 전통적으로 성과 중심의 화려한 산업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이곳에서 활동하는 대부분의 아이돌들은 전문 작곡가들이 만든 곡을 공연하며 경력을 쌓고, 그들의 목소리는 외부에서 구매한 트랙이나 그룹의 사운드와 스타일을 이끄는 내부 프로듀서가 제작한 곡에 얹혀집니다.

하지만 새로운 세대가 이러한 경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K-pop 아이돌 중 점점 더 많은 숫자가 공연가로서뿐만 아니라 자가 제작 아티스트로서의 역할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무대에서의 공연뿐만 아니라 스튜디오에서도 음악을 만들어내며, 이는 현재 K-pop에서 아이돌의 의미를 재정의하고 있습니다.

다음 목록은 글로벌하게 성공적인 솔로 경력을 쌓은 아이콘들을 제외하고, 현재 내부에서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아이돌들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K-pop 남자 그룹 세븐틴의 우지는 그룹의 많은 히트곡의 주요 프로듀서입니다. 세븐틴은 2015년 데뷔 이후 우지가 그룹의 정체성을 강화하며 대부분의 잘 알려진 디스코그래피를 책임졌습니다.

비트 중심의 댄스 트랙부터 감성적인 발라드까지 우지의 작업은 13인조 그룹이 독특한 스타일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크레딧에는 데뷔 싱글 “Adore U” (2015), “Clap” (2017), 일본 발매 “Not Alone” (2021) 및 최신 히트곡 “God of Music” (2023), “Thunder” (2025)가 포함됩니다.

현재 세대의 또 다른 강력한 힘은 K-pop 강자 스트레이 키즈의 제작 유닛 3RACHA입니다. 방찬, 창빈, 한으로 이루어진 이 trio는 스트레이 키즈의 초기 시절부터 거의 모든 트랙의 작성을 감독해 왔습니다.

그들의 곡은 대개 공격적인 비트와 독특한 구조가 특징으로, 이는 그룹의 전 세계적인 매력을 뚜렷하게 하고 있습니다. “God's Menu” (2020), “Back Door” (2020), “Maniac” (2022), “S-Class” (2023), “KARMA” (2025)와 같은 글로벌 히트곡이 그 예입니다.

K-pop 걸 그룹 아이들에서 주도적인 여성인 소연 역시 실질적인 제작으로 그룹의 방향을 조정해왔습니다. 그녀는 직설적인 가사와 장르에 대한 대담한 접근으로 유명하며, 초기 트랙 “Latata” (2018)와 “HWAA” (2021) 뿐만 아니라 “Tomboy” (2022), “Nxde” (2022), “Queencard” (2023) 등의 주요 히트곡을 작사 및 프로듀싱 하였습니다.

소연은 자신의 팀 외에도 K-pop 레이블 P Nation의 신인 걸 그룹 Baby DONT Cry를 위해 제작에 참여하며 K-pop의 다음 세대를 이끌고 있습니다.

K-pop 남자 그룹 ATEEZ의 홍중 역시 그룹의 정체성과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그는 주요 창의적 엔진으로서 데뷔 이후 거의 모든 음반에 크레딧을 받으며, ATEEZ의 독특한 콘셉트를 음악에 녹여냅니다.

“Say My Name” (2019), “Wonderland” (2019), “Guerrilla” (2022), “Crazy Form” (2023)와 같은 트랙은 홍중이 그룹의 글로벌 야망을 사운드로 구현하는 데 기여한 예입니다.

2022년 5인조 걸 그룹 르세라핌으로 데뷔한 허윤진도 꾸준히 공연을 넘어 자신의 역할을 확장해 왔습니다. 허윤진은 “Impurities” (2022)와 “Eve, Psyche & The Bluebeard's Wife” (2023)와 같은 곡의 공동 작곡자로 활동하며 그룹의 디스코그래피에 독특한 서정적 목소리를 더했습니다.

신인 그룹인 BOYNEXTDOOR의 멤버들인 명재현, 태산, 운학 또한 광범위한 창의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3년 HYBE 레이블의 KOZ 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한 이 trio는 “One and Only”라는 데뷔 싱글과 그 후속 곡인 “Serenade” 및 “But I Like You”와 같은 최근 타이틀곡 “Earth, Wind & Fire” (2024)에서 크레딧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K-pop 남자 그룹 BOYNEXTDOOR는 8월 3일 그랜트 파크에서 열리는 롤라팔루자 시카고 공연 중 무대를 장식했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