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학교 교육과 산업 요구 간 불일치 지적 / Experts Identify Gap Between Educational Training and Industry Requirements


Korean universities are facing criticism for their inadequate preparation of students for the workforce, as highlighted by experts during the second session of the Korea Times Global Conference. The session focused on the growing disconnect between academic programs and the skills that employers in the country require.

The forum, titled “Beyond Borders: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Universities,” aimed to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universities, particularly in attracting and educating international students, amid declining domestic enrollment due to falling birthrates.

Moderated by a partner at a consulting firm, the session featured panelists who noted that despite the existence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programs, many international students still encounter difficulties in job preparation within Korea.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conducted at a local university, nearly half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dicated that their primary goal was to secure employment with a Korean company. However, 63 percent reported that they were unsure of how to begin the job search process.

In response, the university is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initiatives, including a six-week internship program that combines experiences in Korea and Shanghai, involving partnerships with local companies.

A CEO of a medical device company, who shared his own experienc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dustry-academia programs. He noted that many foreign students face challenges related to language and cultural adaptation, which can hinder their professional growth.

He suggested that universities should offer courses aimed at developing essential skills, such as proficiency in commonly used software applications.

Another panelist highlighted that most industry-academia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are primarily driven by government initiatives and large corporations, advocating for a greater involv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second-tier universities.

Concerns were raised regarding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faced by companies hiring foreign students, with calls for universities to provide more intensive training in these areas.

Additionally, the need for programs that foster soft skills among foreign students was emphasized, with suggestions for mentorship opportunities that connect students with industry professionals.

At the conclusion of the session, panelists reached a consensus on the necessity for enhanced support systems to ensure that studying in Korea is a valuable experien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e focus on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was deemed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these students, whether they choose to remain in Korea or return to their home countries.




전문가들은 수요일 한국타임스 글로벌 컨퍼런스 제2세션에서 한국 대학들이 학생들을 직업 세계에 준비시키는 데 부족함이 있다고 경고하며, 학문 프로그램과 고용주들이 요구하는 기술 사이의 격차가 커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경계를 넘어: 한국 대학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라는 제목의 포럼은 한국 대학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특히 국내 출생률 감소로 인해 국내 등록금이 줄어드는 가운데 국제 학생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제2세션에서는 삼일PwC의 파트너인 정민철이 진행을 맡았으며, 패널들은 학교들이 산업-학계 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 많은 국제 학생들이 여전히 한국에서의 취업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양대학교 국제처 부처장인 김한성과의 인터뷰에서 "한양대학교 국제 학생에 대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거의 절반이 한국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라고 응답했습니다. 그러나 가장 큰 도전이 무엇인지 물었을 때 63%가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조차 모르겠다고 답했습니다,"라고 말했다.

김 부처장은 대학이 한국 내 2주, 상하이에 4주간의 6주 인턴십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학계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용 의료기기 회사 BNC Global의 CEO인 자하 조다는 산업-학계 프로그램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는 대학 졸업 예정 년도에 의료기기 회사에서의 두 달 인턴십 경험이 제조와 연구 모두에서 여전히 그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저는 주니어나 시니어 때까지 산업-학계 프로그램에 대해 전혀 몰랐습니다,”라고 조다는 말했다. “외국 학생들이 한국에 처음 도착했을 때, 언어와 문화를 배우는 것만으로도 너무 많은 도전에 직면하여 성장에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래서 대학의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이제 한국에서 직원들을 고용하는 사업주가 된 그는 Microsoft Office 같은 기술 세트를 개발하기 위한 3~4개월 과정이 또한 가치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Careertus의 CEO인 오션 양은 대부분의 외국인을 위한 산업-학계 프로그램은 정부, 대기업 또는 최고 대학에서 주도하고 있으며, 중소기업과 2급 학교들이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은 외국 학생들을 고용하는 회사들이 종종 언어와 문화 장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이며, 대학들이 이 분야에서 더 집중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여러 단편적인 정책 요소들이 존재하며, 이를 보다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필리핀 SBI 코스머니의 해외 송금 전문 핀테크 기업의 세일즈 팀 리더인 마키 유존은 외국 학생들이 소프트 스킬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대인 관계 능력이 직장에서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녀는 단순 인턴십을 넘어 학생들을 업계 전문가와 직접 연결해 주는 일대일 멘토링이 또한 필수적이라고 추가했다.

세션이 마무리되면서 패널들은 국제 학생들이 한국에서 진정으로 의미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김 부처장은 "한국에 오는 각 학생은 그들의 인생을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라며 "그들이 한국에 남든 고국에 돌아가든 성공하길 바랍니다. 그래서 그들의 경력 개발과 취업 기회를 지원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라고 말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