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PS-TOPIK, the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test for foreign workers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will transition entirely to tablets next year. Officials state that this change aims to enhance fairness and reduce instances of cheating, reflecting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maintaining integrity in the testing proces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ported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has not identified any cheating cases since last year. As the final verifier in the EPS application process, the Ministry of Justice uses biometric facial analysis to ensure that test-takers match their passport photos during the visa issuance stage.
The initial screening of applicants i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which manages nonprofessional employment programs, including the EPS, requiring candidates to submit scores from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or EPS-TOPIK.
A labor ministry official indicated that while the Ministry of Justice previously reported fraud attempts, the introduction of the ubiquitous-based test (UBT) has allowed the ministry to independently manage and detect cheating effectively.
To combat cheating in overseas test centers, the paper-based testing format was replaced by a tablet-based system starting in 2021. By the end of this year, tablet-based EPS-TOPIK will be utilized in 14 of the 17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EPS program, with full implementation expected by the end of 2026.
This transition to tablet-based testing is intended to enhance security measures and make cheating more difficult. An official from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noted that the format allows for different questions to be presented to different examinees in the same location,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nswer copying.
Additionally, the tablets used for the exam are capable of live audio and video recording of examinees, with features for facial recognition and motion detection,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cheating attempts.
Serious violations, such as proxy testing or submission of forged documents, result in a four-year ban from retaking the EPS-TOPIK and disqualification from working under the EPS system. Minor infractions, including possession of electronic devices without intent to cheat, incur a two-year ban from the tes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ticipates that advancements in technology will further strengthen the screening process for cheating in both tablet-based and online tests, thereby making dishonest actions increasingly challenging.
To further combat test cheating, the ministry h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nti-cheating materials and maintains an online reporting platform for suspected violations.
A labor ministry official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se efforts, stating, “Given that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Korean is related to the safety of workers here, it is important to actually understand the language.”
EPS-TOPIK,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고용허가제(EPS) 표준 한국어 시험이 내년부터 완전히 태블릿으로 전환될 예정이며, 이는 공정성을 강화하고 부정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정부의 노력의 일환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법무부는 지난해부터 부정행위 사례를 적발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EPS 신청 과정의 최종 관문인 법무부는 비자 발급 단계에서 응시자의 사진과 여권 사진을 생체 인식 얼굴 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시험의 초기 심사는 고용노동부에서 수행하며, 이 부서는 지원자가 TOPIK(한국어 능력 시험) 또는 EPS-TOPIK 점수를 제출해야 하는 비전문 고용 프로그램을 감독하고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법무부가 과거에 이러한 사기 시도를 적발하여 우리에게 알려주었지만, UBT(유비쿼터스 기반 시험)의 확산 이후로는 더 이상 그런 정보가 없으며, 모든 것을 우리가 스스로 적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시험센터에서의 TOPIK 부정을 차단하기 위해, 2021년부터 종이 시험 방식이 태블릿 기반 형식으로 대체되었다. 올해 말까지 태블릿 기반 EPS-TOPIK은 한국으로 노동자를 파견하는 17개 국가 중 14개국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2026년 말까지는 모든 파트너 국가에서 완전히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태블릿 기반 시험으로의 전환은 보안을 강화하고 부정을 어렵게 만들기 위한 설계이다.
한 관계자는 “예를 들어, 태블릿 기반 시험은 같은 방에서 서로 다른 응시자에게 다른 문제를 제공할 수 있어 답안을 복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시험에 사용되는 태블릿은 응시자의 얼굴 인식 및 동작 감지를 통해 실시간 오디오 및 비디오 녹음이 가능하여 부정행위 시도는 즉시 식별되고 검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리 시험 응시나 위조 문서 제출과 같은 심각한 위반에 대한 벌칙은 EPS-TOPIK 재응시 금지 4년과 EPS 시스템에서 일할 수 있는 자격을 상실하는 것이다. 부정행위 의도가 없는 전자 장치 소지와 같은 경미한 위반은 시험 재응시 금지 2년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태블릿 기반 및 온라인 시험에서의 부정행위 적발이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부정행위가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고용노동부는 전했다.
부정행위 근절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용부는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동영상 및 포스터를 제작 및 배포하고 있으며, 의심 사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온라인 신고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부정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강화하겠다”며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은 여기 노동자의 안전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