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상속인들의 군 복무 중 장교 선택 이유 / Chaebol Heirs Choose to Serve as Officers During Korea's Mandatory Military Service


Lee Jee-ho, the eldest son of Samsung Electronics Executive Chairman Lee Jae-yong, began his mandatory military service at the Republic of Korea Naval Academy in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on Monday.

This event highlights a trend among heirs of chaebol families opting to serve as military officers, contrasting with past generations who faced public scrutiny over allegations of evading their military obligations.

The shift is perceived as an effort by corporate families to showcase their commitment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to demonstrate their potential as future business leaders.

Lee Jee-ho, 24, arrived at the academy around 1 p.m. on a minivan, accompanied by family members, though it was not confirmed if his mother or sister were present.

He will undergo 39 months of service, which includes 11 weeks of basic military training before being commissioned as an ensign.

Born in New York in 2000, Lee Jee-ho held dual citizenship at birth but recently renounced his U.S. citizenship to fulfill his military duty in Korea.

He is among several heirs from family-controlled conglomerates who have chosen to serve as military officers. Notably, Chey Min-jung, daughter of SK Group Chairman Chey Tae-won, served in the Navy in 2014, despite military service not being mandatory for women in Korea. Additionally, Kim Dong-kwan of Hanwha Group and Chung Ki-sun of HD Hyundai also completed their military service as officers.

The decision to serve as officers is viewed as an attempt to counter negative perceptions of chaebol heirs and to emphasize their societal responsibilities, moving beyond mere symbolism to active participation.

While standard military service in Korea lasts from 18 to 21 months, officer training extends to 39 months, during which officers develop leadership skills,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n industry official noted that these traits are desirable for business leaders, suggesting that chaebol offspring may choose officer roles to justify their future leadership positions and enhance their public images.

It remains uncertain whether Lee Jee-ho will eventually take control of Samsung Group. In 2020, his father stated he would not pass on management rights to his children, acknowledging past controversies linked to the inheritance of Samsung's control.

Lee Jae-yong's commitments are not legally binding, but industry observers believe they are unlikely to be disregarded, given the complex shareholding structure of Samsung Group and the substantial inheritance tax implications.

The executive chairman currently holds shares in Samsung companies valued at approximately 18 trillion won ($13 billion), with potential inheritance taxes estimated at 10.8 trillion won under current laws.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의 맏아들 이지호가 9월 25일 경남 창원의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해군 장교로서 의무 군 복무를 시작했다.

이번 일은 재벌 3세가 군 복무를 장교로 이행하는 사례로, 이전 세대가 군 복무를 회피했을 것이라는 의혹에 직면해 대중의 비판을 받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는 재벌 가문의 젊은 구성원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미래 비즈니스 리더로서의 역량을 입증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이지호는 25일 오후 1시경 미니밴을 타고 사관학교 캠퍼스에 입장했다. 해군에 따르면 가족과 동행했으나 그의 어머니나 자매가 함께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24세의 그는 월요일부터 기본 군사 훈련 11주를 포함한 총 39개월의 군 복무를 시작하게 되며, 이후 임관해 해군 소위로 복무할 예정이다.

이지호는 2000년 뉴욕에서 이건희 전 회장과 당시 아내인 대상그룹 부회장 임세령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출생 당시 이중국적을 갖고 있었지만 최근 한국에서 군 복무를 이행하기 위해 미국 국적을 포기했다.

이지호 이전에도 한국의 가족경영 재벌 출신들이 의무 군 복무를 장교로 이행한 사례가 여러 차례 있었다.

예를 들어, SK그룹 최태원 회장의 둘째딸 최민정은 2014년 해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이는 여성에게 군 복무가 의무가 아닌 상황에서도 해당된다.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관은 공군 통역장교로 군 복무를 이행했으며, 그의 동생 김동원은 공군 장교로 복무했다.

HD현대 부회장 정기선은 예비역 군사학과 졸업생이며, 동국제강 부회장 장세욱은 예비역 육군 대령이다.

그들의 장교 복무 선택은 재벌 자녀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깨고 특권층이 사회에 기여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노력으로 여겨진다.

한국에서의 군 복무는 일반적으로 18개월에서 21개월이지만, 장교로 복무하는 경우 39개월이 필요하다. 이 기간 동안 장교들은 조직 문화 이해, 책임 인식, 리더십 연습 및 문제 해결 능력 배양을 기대받는다.

“이러한 특성은 비즈니스 리더에게 바람직한 요소인데, 재벌 자녀들은 장교로 복무함으로써 미래의 리더십 역할을 정당화하고 개인 이미지를 개선하며 사회적 신뢰를 구축함으로써 도움을 주려는 의도가 있다”고 한 재벌 관계자는 전했다.

그러나 이재용의 아들이 삼성그룹을 물려받을지는 불확실하다.

2020년 그의 아버지는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다짐한 바 있으며, 당시 삼성의 논란이 있던 구매나 불공정 거래 의혹들이 그의 아버지로부터 회사를 물려받는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시인했다.

그는 또한 삼성 계열사 간의 논란이 되는 합병과 관련하여 약 5년간 법정에 출석했으며, 조세심판원이 7월에 무죄로 판결을 내렸다.

비록 이러한 약속이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삼성그룹의 복잡한 지배 구조와 막대한 상속세를 감안할 때 단순한 언어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 회장 현재 삼성 관련 회사의 주식을 약 18조 원에 달하며, 현행 상속세 법률이 적용될 경우 세금은 10.8조 원에 이를 것이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