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government announced this week its intention to introduce legislation aimed at establishing a 4.5-day workweek, a significant campaign promise made by President Lee Jae Myung.
This initiative is part of the administration’s broader 123 national policy initiatives, which aim to reduce average working hours and enhance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During a briefing in Sejong City on Wednesday, the Minister of Government Legislation stated that the government plans to submit the Reduced Working Hours Support Act to the National Assembly before the end of the year. The proposed measure would include tax credits and incentives for companies that reduce their employees’ working hours within the new framework. Additionally, officials plan to revise 66 government decrees and submit 110 legislative proposals for parliamentary review within the year.
The reform is slated for implementation in three phases, according to a roadmap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first phase involves passing the support law and launching pilot programs within the year. In 2026, the government aims to ban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which has faced criticism for promoting excessive working hours by including overtime and holiday pay in monthly salaries. Broader discussions on extending the 4.5-day workweek nationwide are anticipated to begin in 2027.
President Lee has emphasized that South Korea, ranked among the most overworked nations in the OECD, needs to reduce working hours to improve living standards. In 2023, Korean workers logged an average of 1,874 hours, which is 132 hours more than the OECD average.
However, business groups have expressed strong opposition to the proposed changes. The Korea Employers Federation pointed out that South Korea’s hourly labor productivity was $54.60 in 2023, significantly lower than both the OECD average of $70.50 and the G7 average of $80.60. They caution that a shorter workweek could further diminish competitiveness and exacerbate economic disparities.
Industry representatives have voiced concerns that, given South Korea's heavy reliance on manufacturing, a reduction in working hours could lead to decreased output unless there are accompanying labor market reforms. Some executives have warned that implementing a uniform standard across various industries and company sizes could lead to disruptions. One anonymous small business owner in the auto parts manufacturing sector indicated that reducing the workweek without addressing rigid labor practices would likely result in decreased efficiency and increased costs.
Despite these concerns, several major companies have voluntarily adopted similar measures. For example, SK Telecom has implemented a Happy Friday program, allowing employees to take every other Friday off if they complete 80 hours over two weeks. Samsung Electronics offers flexible scheduling through its existing selective working hours system.
The government argues that the new measure will ultimately create more jobs and provide smaller companies with a competitive advantage. Conversely, mid-sized firms contend that the added wage costs could outweigh any potential benefits, harming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정부는 이번 주에 4.5일 근무제를 위한 법안을 올해 도입하겠다고 발표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공약 이행에 나섰다.
이 계획은 정부의 123개 국가 정책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평균 근무 시간을 줄이고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수요일 세종시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정부 입법처의 조완철 장관은 정부가 연내에 국회에 근로시간 단축 지원법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법안은 새로운 틀에서 근로 시간을 줄인 기업에 세금 공제와 기타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법안과 함께 관계자들은 올해 66개의 정부 규정을 개정하고 추가로 110개의 입법 제안을 국회에 보낼 계획이다.
고용노동부가 작성한 로드맵에 따르면, 개혁은 세 가지 단계로 시행될 예정이다.
첫 번째 단계는 지원 법안의 통과와 pilot 프로그램의 도입이다. 2026년에는 초과근무와 휴일 수당을 월급에 포함시키는 포괄 임금 제도의 광범위한 사용을 금지할 계획이다. 2027년에는 전국적으로 4.5일 근무제 확대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OECD에서 가장 과도하게 일하는 나라 중 하나인 한국은 근무 시간을 단축해야 생활 수준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2023년에는 한국 직원들이 평균 1,874시간을 근무했으며, 이는 OECD 평균보다 132시간 많은 수치이다.
하지만 기업들은 강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023년 한국의 시간당 노동 생산성이 54.60달러로, OECD 평균의 77.4%에 불과하며 G7 평균인 80.60달러보다도 현저히 낮다고 밝혔다. 이들은 근무 주 축소가 경쟁력을 더 약화시키고 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산업 관계자들은 한국의 제조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근무 시간 단축이 노동 시장 개혁 없이 직접적으로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일부 경영자들은 산업과 회사 규모에 관계없이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면 필연적으로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북 경주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의 대표는 익명을 요구하며 "경직된 노동 관행을 완화하지 않고 근무 주가 줄어들면 효율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몇몇 대기업은 이미 유사한 제도를 자발적으로 도입했다. SK텔레콤은 직원들이 2주 동안 80시간을 완료하면 매주 금요일마다 쉴 수 있는 해피프라이데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기존의 선택적 근무 시간 제도 하에서 유연한 근무 일정을 허용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조치가 궁극적으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소기업에 상대적인 이점을 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견기업들은 추가적인 임금 비용이 이익을 초과할 수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을 해칠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