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약품 관세 계획, 한미 통상 회담에 대한 압박 강화 가능성 / Trump's Drug Tariff Proposal Expected to Increase Pressure on Korea-US Trade Negotiations


United States President Donald Trump resumed his tariff-based pressure on Tuesday, announcing plans to introduce pharmaceutical tariffs “within the next two weeks.” The specifics and potential effects of these drug tariffs on Korean industries remain uncertain, but Trump's mention of a timeline suggests an acceleration in tariff negotiations with trade partners, including Korea.

This development coincides with ongoing working-level discussions between the trade authorities of the two nations, focusing on what Korea refers to as a "July package." This package comprises a series of trade agreements designed to alleviate the impacts of the proposed "reciprocal" and item-specific tariffs from Washington.

As the U.S. intensifies its negotiations, concerns are mounting regarding Korea’s diminished bargaining power, particularly in light of a leadership vacuum within the country. During the announcement of an executive order aimed at promoting prescription drug manufacturing in the U.S., Trump detailed the plan for pharmaceutical-specific tariffs. Additionally, his administration had previously initiated a Section 232 investigation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 of these tariffs.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화요일에 약품 관세에 대한 압박을 재개하며 “향후 2주 이내에 약품 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약품 관세의 범위와 한국 산업에 대한 잠재적 영향은 불투명하지만, 트럼프가 특정 시점을 언급한 것은 워싱턴이 한국을 포함한 무역 파트너들과의 관세 협상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압박은 두 나라 무역 당국 간의 계속 진행 중인 실무 회담과 관련이 있으며, 한국이 “7월 패키지”라 부르는 일련의 무역 거래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워싱턴이 제안한 “상호적” 및 품목별 관세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이 협상 가속화에 나서면서, 한국의 정치적 리더십 부재로 인해 협상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처방약 제조를 장려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트럼프는 약품 특정 관세 계획을 공개했다. 그의 정부는 지난달 한국에 대한 영향에 대한 섹션 232 조사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