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e Jun-seok, the presidential candidate of the minor conservative Reform Party, has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a separate minimum wage system for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This initiative aims to attract more manufacturing jobs back to the country.
In a list of his top 10 policy priorities released ahead of the June 3 election, Lee, 40, expressed his intention to encourage the return of production by providing more affordable labor options for Korean manufacturers currently operating i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Vietnam, where labor costs are significantly lower.
Under his proposal, companies that choose to relocate their primary manufacturing facilities to designated national industrial parks in locations such as Ulsan, Yeosu, Changwon, and Gumi would be exempt from the obligation to pay the national minimum wage to workers for a period of up to 10 years.
Lee stated, “The goal of this policy is to motivate companies to return here by offering a separate wage system for foreign workers and easing other regulations so that companies can maintain the same level of labor expenses.” This policy outline was made available on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s website on Monday.
소규모 보수 정당인 개혁당의 대선 후보인 이준석이 한국 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별도의 최저임금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공약했다. 이는 해외에서 더 많은 제조업 일자리를 되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6월 3일 선거를 앞두고 발표된 그의 10대 정책 우선순위 목록에 따르면, 이 후보는 중국과 베트남 등 인건비가 낮은 국가에서 운영 중인 한국 제조업체들에게 보다 저렴한 노동력을 제공하여 상품 생산을 되돌리려 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이 울산, 여수, 창원, 구미 등 국정 지정 산업단지로 주요 제조 시설을 이전할 경우, 최대 10년 동안 국가 최저임금을 지급할 의무에서 면제받게 된다.
그는 정책 목록에서 "이 정책의 목표는 기업들이 여기로 돌아오게 만들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별도의 임금 체계를 제공하고, 기업들이 동일한 수준의 인건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른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