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와 기아, 미국 관세 충격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에 따라 포트폴리오 재조정 계획 / Hyundai Motor and Kia Adjust Portfolio in Response to US Tariff Impacts on Earnings


Hyundai Motor and Kia are adjusting their production strategies in the United States to mitigate potential earnings declines due to new auto tariffs. Recently, both automakers reported strong first-quarter earnings, driven by robust sales in the U.S. market. However, concerns are rising about a possible decrease in earnings in the second quarter and the latter half of 2025, following the U.S. government's decision to impose a 25 percent tariff on imported vehicles.

In light of the growing trade uncertainties, Hyundai Motor Group has established a task force to develop a contingency plan aimed at optimizing auto production and sales in the U.S. “We will prepare the contingency plan to shape our ideal production strategies by regions and vehicles,” stated an executive during a recent conference call with investors.

The company plans to gradually increase local production of vehicles and auto parts in the U.S. as part of a long-term strategy. This approach appears necessary given the automaker's increasing dependence on the U.S. market.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미국 내 생산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고 있으며, 이는 대규모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수익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desperate한 노력의 일환이다.


지난주 현대자동차그룹의 두 자동차 제조업체는 미국에서의 강한 자동차 판매 덕분에 1분기 실적이 양호하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적은 미국이 수입 차량에 25%의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2분기 및 2025년 하반기에는 감소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무역 불확실성이 심화됨에 따라 그룹은 미국 내 자동차 생산 및 판매를 최적화하기 위해 비상 계획을 수립할 전담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현대자동차의 이승조 부사장은 목요일 투자자와의 컨퍼런스 콜에서 “지역 및 차량별로 이상적인 생산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비상 계획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사장은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많은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의 생산을 점진적으로 현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전략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한국에서의 의존도를 증가시키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불가피해 보인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