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ce reserved for Korea’s grueling civil service exams, the term “gosi” is now used to describe the intense study routines of children as young as 4 to 7. The phrase “4- and 7-year-old gosi” reflects the rapid rise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particularly in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In response to concerns over the intense focus on privat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Ministry of Education conducted its first nationwide survey of English cram schools, examining the prevalence of preenrollment level testing and early instructional programs.
However, the finding that only 23 English cram schools nationwide administer preenrollment level tests has drawn skepticism, as it appears far removed from the reality experienced by many families. According to the ministry’s report released Thursday, just 23 out of 728 surveyed institutions were found to administer such tests.
By region, 11 were in Seoul, nine in Gyeonggi Province, and three in Gangwon Province. In addition, the report indicated that 20 institutions administered level tests to divide students into classes by ability, while only three used them for self-assessment purposes.
한국의 고된 공무원 시험에만 사용되던 "고시"라는 용어가 이제는 4세에서 7세 어린이의 집중적인 학습 방식도 지칭하게 되었다. "4세 및 7세 고시"라는 용어는 특히 영어 교육에 있어 한국의 사교육이 급증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어린이에 대한 사교육의 집중화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여, 교육부는 영어 학원에 대한 전국 최초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등록 수준 시험과 조기 교육 프로그램의 보급 현황을 조사하였다. 하지만 전국 23개 영어 학원만이 사전 등록 수준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는 현실과 동떨어진 것으로 보인다는 비판을 받았다.
목요일 발표된 교육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된 728개 기관 중 단 23개만이 이러한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에 11개, 경기 지역에 9개, 강원 지역에 3개가 포함되었다.
또한 보고서는 20개 기관이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반을 나누기 위해 수준 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3개 기관만이 자율적으로 한국어 수준 테스트를 사용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