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과 사법부 간 긴장 고조 / Rising Tensions Between Ruling Party and Judiciary


The presidential office indicated support on Monday for the opposition-controlled National Assembly, suggesting that the nation’s top judge should contemplate resignation if such calls reflect legislative intent. This statement, made by a spokesperson, represents a notable intervention in the growing conflict between the executive and judiciary branches.

This endorsement effectively aligns the presidential office with the ruling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which holds a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increasing pressure on Chief Justice Cho Hee-dae as the dispute over judicial independence intensifies.

The DPK aims to advance a judicial reform bill before the Chuseok holiday in early October, facing opposition from the judiciary concerning proposals that include establishing a special tribunal and expanding the Supreme Court. In response, the National Judges’ Association announced its own forum on reforming the appeals system, raising speculation about increasing resistance to the Assembly’s plans within the courts.

During a press briefing, presidential spokesperson Kang Yu-jung commented on a public call for Cho’s resignation made by Rep. Choo Mi-ae, chair of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Kang stated, “If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deliberation and discussion, seeks to reflect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nd the will of the people, it can be regarded as the foremost authority elected by the people.” She suggested that an appointed authority like the chief justice should consider the legitimacy of such public demands.

In a Facebook post on Sunday, Choo criticized Chief Justice Cho, claiming he remained silent during a period of prosecutorial overreach and suggested he was protecting individuals delaying trials rather than upholding judicial independence.

DPK leader Jung Chung-rae further escalated pressure on Cho by asserting that he has become a “vanguard of an anti–Lee Jae-myung political struggle” and insisted on his resignation.

Initially, the remarks drew backlash for seemingly undermining the separation of powers, but the presidential office later clarified that the intention was to highlight the need for the judiciary to respect the authority of elected officials.

Kang also addressed the cautious approach of the chief justice and the National Judges’ Conference regarding the DPK’s proposals for judicial reforms, which aim to enhance parliamentary oversight and accountability within the judiciary. She emphasized that appointed officials should respect the Assembly’s discussions and allow time for deliberation.

Concerning a divisive proposal to create a “special tribunal” for cases related to insurrection charges against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 Kang stated that any action must adhere to legislative processes.

On the same day, Rep. Jang Dong-hyeok, leader of the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PPP), criticized the presidential office's statements that appeared to support the DPK's push for Cho's resignation. He warned that undermining the separation of powers could threaten the nation's constitutional safeguards.

Jang also opposed the special tribunal plan, arguing it contradicts the Constitution, which protects judicial independence and assigns authority for appointments to the chief justice. He remarked that any claims of precedents for special tribunals in the past were based on explicit constitutional provisions, asserting that such proposals are inappropriate and reminiscent of governance in authoritarian regimes.

In a related development, court presidents across the nation released an official statement asserting the necessity of guaranteeing judicial independence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judicial participation in institutional reform discussions.




월요일, 대통령실은 여야가 대치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국민의힘이 통제하는 국회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발언을 하며 나라의 최고 판사가 국회의 뜻을 반영한다면 사퇴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 대변인의 발언은 행정부와 사법부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드문 개입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이 국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DPK)을 사실상 지지함에 따라 대법원장 조희대에 대한 압박이 가중되며 사법 독립을 둘러싼 갈등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DPK는 10월 초 추석 연휴 전에 사법개혁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특별재판소와 확대된 대법원 구성 등의 제안으로 사법부와 충돌하고 있다. 이에 국립법원장협회가 항소 시스템 개혁에 대한 자체 포럼을 발표하였고, 이로 인해 국회의 의제에 대한 저항이 법원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인 추미애 의원이 전날 조 대법원장에게 사퇴를 요구하는 공개 발언을 한 것에 대한 질문에 대해, 대통령 대변인 강유정은 브리핑 중 “국회가 심의와 토의를 통해 헌법정신과 국민의 뜻을 반영하고자 한다면 국민에 의해 선출된 최고의 권위로 간주될 수 있다”며 “역사적이고 공적인 요구가 있다면 임명된 권위자인 대법원장도 그 요구의 타당성과 이유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강 대변인은 조 대법원장과 전국법원장 회의가 지난 금요일 DPK의 사법개혁 추진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한 것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간접적으로 임명된 권한자들은 국회의 논의를 충분히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의 자율조정 능력과 내부 협의에 대한 의구심을 처음부터 품기보다는 주의 깊게 지켜보고 충분한 논의 시간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이른바 ‘특별재판소’를 설치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군사령법 사건과 관련된 사건을 처리하겠다는 논의에 대해 “어떠한 조치도 반드시 입법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주요 야당인 국민의힘의 장동혁 대표는 대통령실의 발언이 DPK 쪽에 가담하여 대법원장 사퇴 압박을 가하는 것처럼 비쳐져 비판했다.

장 대표는 “권력의 분립이 무너져도 국가의 최후의 보루가 사라진다”며 “선출된 권력이 모든 기관 위에 서있다는 위험한 개념은 극도로 무모한 아이디어로, 궁극적으로 헌법의 근본을 훼손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그는 반란 사건을 처리하기 위한 특별재판소 계획을 비판하며, 이는 사법 독립을 보장하고 대법원장에게 임명 권한을 부여한 헌법에 정면으로 반한다고 주장했다.

전국 법원장들은 금요일, ruling party의 사법개혁 추진에 대해 “사법 독립을 보장해야 한다”는 공식 성명서를 발표하며, “제도적 개혁에 대한 논의에는 사법부의 참여가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