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recent release of the Japanese animated feature “Demon Slayer: Kimetsu no Yaiba — The Infinity Castle” continues to captivate the Korean box office, surpassing 4.5 million viewers as of Tuesday. However, the film’s popularity has once again spotlighted a long-standing controversy over the use of images resembling the Rising Sun flag, a symbol widely associated with Japan’s wartime imperialism.
On Tuesday, a professor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known for advocating against historical and cultural misrepresentations of Korea, raised concerns about a Rising Sun flag-inspired accessory depicted in the animation. He criticized the sale of related merchandise, noting that the image remains a potent symbol of Japanese militarism and colonial aggression in Korea and other parts of Asia.
The professor pointed out that various online platforms and shops have been selling accessories modeled after the earrings worn by “Demon Slayer” protagonist Kamado Tanjiro, a design that closely resembles the controversial flag. The earrings previously sparked backlash during the 2019 release of the film “Demon Slayer: Kimetsu no Yaiba — The Movie: Mugen Train,” which led to design modifications for Korean audiences.
“While the film enjoys tremendous popularity, it is vital to acknowledge the historical wounds the Rising Sun flag symbolizes for many Koreans and neighboring countries,” he stated on social media. He emphasized that allowing such merchandise to be sold without careful review disregards national sentiment and historical context.
The Rising Sun flag, once the official standard of the imperial Japanese military, is widely recognized in Korea as a “war crime banner” and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colonial rule of the peninsula from 1910 to 1945. Consumers and activists often protest similar flag-themed products and images, arguing for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Korean history and remaining culturally sensitive.
The professor called on major e-commerce platforms and retailers to recogniz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take action swiftly. He remarked, “It's natural for companies to want to maximize profit, but they must als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national sentiment of the markets they serve,” urging Korea’s major online marketplaces to remove these products immediately.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의 최근 개봉이 한국 박스오피스를 사로잡고 있으며, 화요일 기준 관객 수가 450만을 초과했다. 그러나 이 영화의 인기는 한편으로는 일본 제국주의와 연결된 상징으로 널리 알려진 욱일기가 도용되는 것에 대한 오랜 논란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화요일 성신여자대학교의 유서 깊은 역사 및 문화 잘못된 표현을 바로잡기 위한 활동으로 알려진 서경덕 교수는 애니메이션에서 욱일기를 연상시키는 액세서리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그는 관련 상품의 판매를 비판하며, 욱일기 이미지는 일본 군국주의와 한국 및 아시아 다른 지역에서의 식민지 침략의 강력한 상징임을 지적했다.
서 교수는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과 상점에서 “귀멸의 칼날”의 주인공인 카마도 탄지로가 착용한 귀걸이와 유사한 디자인의 액세서리를 판매하고 있다고 밝히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 귀걸이는 2019년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개봉 당시 반발을 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한국 관객을 위한 디자인 수정이 이뤄졌다.
서 교수는 소셜 미디어에서 “영화가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욱일기가 많은 한국인과 이웃 나라들에게 상징하는 역사적 상처를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품이 신중한 검토 없이 판매되는 것은 시민의 감정과 역사적 맥락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욱일기는 한때 일본 제국군의 공식 기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전범기”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반도의 식민지 통치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소비자와 활동가들은 유사한 기념품 및 이미지에 대해 자주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이며, 한국의 역사를 존중하고 문화적으로 민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 교수는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소매업체들이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기업들이 이익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들이 서비스하는 시장의 역사적 및 국민 감정을 이해해야 한다”고 교수는 강조했다. “한국의 주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는 즉시 이러한 제품을 제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