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record number of men in Korea are taking paternity leave, reflecting a significant cultural shift,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released on Sunday. This change comes as the country grapples with a demographic crisis characterized by one of the lowest birthrates globally.
Data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dicates that 95,064 workers received parental leave benefits between January and June of this year, representing a 37.4 percent increase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23. Among these, 34,645, or approximately 36.4 percent, were men, marking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nation's history and a 54.2 percent rise from the previous yea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figures do not include civil servants and teachers who are not part of the national employment insurance program, suggesting that the actual number may be even higher. The percentage of male parental leave recipients has steadily risen from 13.4 percent in 2017 to 31.6 percent in 2023, with a significant increase to 36.4 percent in the first half of 2024.
Authorities attribute this surge to enhancements in parental leave policies and increased financial incentives. Recent reforms have extended the "6+6 Parental Leave" program, allowing both parents to take up to six months of leave.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에서 아버지의 육아휴직을 선택하는 남성의 수가 기록적인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문화의 중요한 변화를 나타낸다. 한국은 세계 최저 출산율로 인한 인구 위기와 마주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 사이에 95,064명의 근로자가 육아휴직 급여를 받기 시작했으며, 이는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37.4% 증가한 수치이다. 이 중 남성은 34,645명으로, 전체의 약 36.4%를 차지하며, 한국 역사상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는 작년 대비 54.2% 증가한 수치다.
이 수치는 국가 고용보험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는 공무원과 교사는 제외된 것으로, 실제 수는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 육아휴직 수혜자의 비율은 2017년 13.4%에서 지난해 31.6%로 꾸준히 상승했으며, 2024년 상반기에는 36.4%로 급격히 증가했다.
당국은 이러한 증가가 개선된 육아휴직 정책과 확대된 재정적 인센티브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개정된 정책은 '6+6 육아휴직' 프로그램을 연장하여 양 부모가 최대 6개월의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