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포경 수술해야 할까? 부모들이 장단점을 검토하다 / Debate Surrounds Circumcision: Parents Conside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Korea, many parents face a challenging decision regarding circumcision for their sons, a procedure colloquially referred to as "whale hunting." The debate centers on the necessity of circumcision for healthy children, despite evidence suggesting that it may reduce the risk of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Circumcision became more common in Korea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nd the Korean War, influenced by American culture that associated the practice with improved hygiene. Since then, it has gained popularity among many Korean families.

Research indicates that circumcision does lower the risk of UTIs. A U.S. study tracking boys under the age of one found that the UTI incidence was 2.15 percent among uncircumcised infants, whereas it was only 0.22 percent for those who were circumcised. Additional studies show that the long-term risk of UTIs stands at 32.1 percent for uncircumcised males, in contrast to just 8.5 percent for circumcised individuals. Notably, the gap is more pronounced in younger children, with circumcised boys under the age of one experiencing nearly a tenfold reduction in UTI risk.




많은 한국 남자 아이들의 부모에게 있어, 아동 포경 수술은 한국어 동음이의어 때문에 '고래 사냥'이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이고 어려운 딜레마로 남아있습니다. 이 절차는 요로 감염(UTI)의 위험을 낮출 수 있지만, 건강한 아이들에게 그 필요성이 점점 더 논의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포경 수술은 일본이지배에서 해방된 이후와 한국 전쟁 이후에 아메리카의 영향으로 위생을 촉진한다는 믿음 아래 보편화되기 전에는 한국에서 흔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이 관행은 전국적으로 널리 채택되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포경 수술이 요로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1세 미만의 남자아이들을 추적한 결과, 포경 수술을 받지 않은 아기들 사이의 UTI 발생률은 2.15%였지만, 포경 수술을 받은 아기들은 0.22%로 나타났습니다. 유사한 연구들은 포경 수술을 받지 않은 남자아이들의 장기적인 UTI 위험이 32.1%인 반면, 포경 수술을 받은 경우는 8.5%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린 나이일수록 이 차이는 더욱 커집니다: 1세 미만의 포경 수술을 받은 남자아이들은 포경 수술을 받지 않은 남자아이들보다 거의 10배 높은 차이를 보였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