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atcha, a domestic streaming service, is currently facing a significant financial crisis that jeopardizes its viability as it struggles against increasing competition in the market. Industry officials reported that earlier this month, one of Watcha's convertible bond (CB) holders initiated court receivership proceedings due to concerns over the company's ability to meet obligations related to a CB valued at 49 billion won (approximately $35.14 million), some of which matured last year.
Despite attempts to negotiate an extension with investors, Watcha was unable to reach an agreement. According to legal provisions, any creditor with more than 10 percent equity in a company has the right to file for court receivership without requiring the company's consent.
The streaming platform has been grappling with a declining financial structure, worsened by ongoing operating losses and a shrinking user base. This decline has been intensified by the aggressive market expansion of global streaming leader Netflix and domestic competitors such as Coupang and Tving.
The convertible bonds in question were initially raised in 2021 from a mix of venture capital firms and private investors, including Kakao.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인 왓챠가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에서 라이벌에 의해 밀려나면서 생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왓챠의 전환사채(CB) 보유자 중 한 명이 이달 초 스트리밍 플랫폼에 대해 법원에 회생 신청을 했다. 이는 회사가 490억 원(약 3,514만 달러) 상당의 CB를 처리하지 못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이 중 일부는 지난해 만기가 도래했다.
왓챠는 투자자와 연장 협상을 시도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에 따르면, 회사 지분의 10% 이상을 보유한 채권자는 회사의 동의 없이 법원에 회생 신청을 할 수 있다.
왓챠는 지속적인 운영 손실과 감소하는 사용자 기반으로 인해 재정 구조가 악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스트리밍 거대 기업인 넷플릭스와 쿠팡, 티빙과 같은 국내 서비스들이 공격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전환사채는 2021년 반도체 투자 회사와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모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