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new study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has reveal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outperforms doctors in detecting secondary breast cancer, particularly in identifying cases that may have been overlooked by physicia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I could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diagnosis and prognosis for cancer survivors.
On Friday, SNUH’s Department of Radiology, under the leadership of Professors Chang Jung-min and Ha Su-min, announced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involving 4,189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mastectomy. The researchers assess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AI software against that of experienced radiologists by analyzing mammography images of the patients’ remaining breasts, where the risk of secondary cancer is notably increased.
Secondary cancer is defined as a new malignancy that arises in a different location following successful treatment of the initial cancer. Breast cancer, being the most prevalent cancer among women, frequently develops in the opposite breast after a mastectomy.
The AI software utilized in this study is commonly employed in routine breast cancer screening, highlighting its potential for broader application in clinical settings.
서울대학교병원(SNUH)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인공지능(AI)이 의사보다 2차 유방암을 더 정확하게 발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의사가 놓친 사례를 식별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AI가 암 생존자의 진단 및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금요일, SNUH의 방사선학과는 장정민 교수와 하수민 교수의 주도 하에 4,189명의 유방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2차 암의 위험이 높아지는 환자의 나머지 유방의 유방촬영 이미지 분석을 통해 AI 소프트웨어의 진단 정확도를 경험이 풍부한 방사선 전문의와 비교했다.
2차 암은 최초의 암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 다른 위치에 새로 나타나는 악성 질환을 의미한다. 유방암은 여성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암으로, 유방 절제술 이후 반대편 유방에서 종종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AI 소프트웨어는 일상적인 유방암 검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