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cerns are growing over the potential decline of Korean battery manufacturers in the domestic electric vehicle (EV) market, as Hyundai Motor Group's subsidiaries are increasingly relying on Chinese batteries.
Industry officials reported that Kia is set to launch the EV5 in Korea, utilizing CATL’s nickel-cobalt-manganese (NCM) batteries. Production of the midsize SUV is scheduled to begin at the Gwangju plant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with plans to release the all-electric vehicle in Korea by the end of this year.
When Kia introduced the EV5 in China last year, it opted for BYD’s lithium iron phosphate (LFP) batteries, which are known for being more affordable and having greater thermal stability compared to ternary batteries. However, for the Korean market, Kia has chosen to use CATL’s ternary batteries, which are recognized for their higher energy density and performance.
Kia has previously utilized CATL’s NCM batteries in models such as the Niro EV and PV5, while the Ray EV is powered by the Chinese company's LFP batteries. Hyundai Motor has also incorporated CATL’s NCM batteries in its vehicles.
한국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국내 전기차(EV) 시장에서 입지를 잃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대자동차 그룹의 두 자동차 제조 부문이 중국 배터리 의존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기아는 올해 하반기 광주 공장에서 CATL의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사용하여 EV5를 국내 출시할 준비를 하고 있다. 기아는 올해 말까지 한국에서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기아는 지난해 중국에서 EV5를 출시할 때 BYD의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를 선택했는데, 이는 삼원 배터리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열 안정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 판매를 위해서는 에너지 밀도와 성능이 더 높은 CATL의 삼원 배터리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는 이미 Niro EV 및 PV5에서 CATL의 NCM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Ray EV는 중국 회사의 LFP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현대차도 CATL의 NCM 배터리를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