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기획사, 감소하는 앨범 판매에도 불구하고 번창하는 이유 /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silience of K-pop Agencies Amid Declining Album Sales


K-pop agencies are experiencing a resurgence despite a decline in physical album sales from their pandemic-era peak. This recovery is driven by increased concert revenues and the global popularity of emerging acts, leading to stronger-than-expected earnings for Korea’s leading entertainment companies in early 2025.

According to industry reports, three of the "big four" agencies — HYBE, SM Entertainment, and YG Entertainment — have reported improved first-quarter result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JYP Entertainment has yet to release its figures but is anticipated to show a year-on-year decline.

HYBE reported revenues of 500.6 billion won ($368 million) and an operating profit of 21.6 billion won for the first quarter of 2025, marking increases of 38.7 percent and 50 percent, respectively, from the previous year. This represents a significant turnaround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when both revenue and profit had declined.

SM Entertainment also experienced growth, with revenues of 231.4 billion won, a 5.2 percent increase, and an operating profit of 32.6 billion won, reflecting a 110 percent rise. YG Entertainment, which reported losses during the first quarter last year, has also shown signs of recovery.




K-팝 에이전시들이 팬데믹 기간의 정점에서 물리적 앨범 판매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활하고 있다. 콘서트 수익의 급증과 새로운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인기 덕분에 한국의 주요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은 2025년 초 예상보다 강한 실적을 거두고 있다.

음악 산업에 따르면, '빅 4' 에이전시 중 세 곳인 HYBE,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가 전년 대비 개선된 1분기 실적을 보고했다. JYP 엔터테인먼트는 아직 수치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HYBE는 2025년 1분기에 5,006억 원(3억 6,800만 달러)의 수익과 216억 원의 운영 이익을 기록했으며, 이는 각각 전년 대비 38.7%와 50% 증가한 수치다.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급격한 반전이다.

SM 엔터테인먼트도 성장세를 보이며 2,314억 원의 수익을 달성했고, 이는 5.2% 증가한 수치이며, 326억 원의 운영 이익은 110% 급증했다.

지난해 1분기에 적자를 기록했던 YG 엔터테인먼트도 이번 분기에는 흑자를 돌아섰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