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th just nine days remaining until the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criticism is growing over the delayed release of the candidates’ full policy booklets.
Many argue that the delay deprives voters of a fair opportunity to compare the candidates’ proposals thoroughly. There is no legal requirement for presidential hopefuls to publish detailed policy platforms.
In practice, however, candidates in past elections have released booklets hundreds of pages long to help voters better understand their positions. Parties have cited the rushed timeline of the snap election as the reason for the delay, but the lack of detail marks a significant setback compared to past races.
In the 2017 snap election — held under circumstances similar to the current race following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 the conservative party released its policy booklets 22 days before the vote. The liberal party followed suit 11 days ahead of election day.
In the most recent presidential election in 2022, similar expectations were met with timely releases of policy documents, underscoring the current concerns over transparency and voter information.
6월 3일 대선까지 9일 밖에 남지 않은 가운데, 후보자들의 정책 공약집 발표 지연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많은 이들은 이 지연이 유권자들에게 후보자들의 제안을 철저히 비교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박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대통령 후보자들이 상세한 정책 플랫폼을 발표할 법적 의무는 없지만, 과거 선거에서는 후보자들이 유권자들이 자신의 입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공약집을 공개해왔다.
정당들은 이번 조기 선거의 촉박한 일정이 지연의 이유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세부 사항의 부족은 과거 선거에 비해 중대한 후퇴를 의미한다.
2017년 조기 선거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유사한 상황에서 치러진 선거로, 당시 보수당인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은 투표 22일 전에 정책 공약집을 발표했다. 진보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선거일 11일 전에 공약집을 따랐다.
2022년 최근 대선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다.